“장흥~광주 직선도로 빨리 개설해 달라”
2022년 11월 10일(목) 18:35 가가
장흥군의회, 김영록 지사 만나 요구
지방도 839호선 확장 20년째 부진
지역민 불편·산단 분양 부진 유발
지방도 839호선 확장 20년째 부진
지역민 불편·산단 분양 부진 유발
“장흥만 없는 직선화도로 빨리 개설해 달라.”
장흥군의회가 국토건설부와 전남도를 상대로 광주~장흥간 직선화도로 개설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장흥군의회는 최근 김영록 전남도지사를 만나 “화순이양에서 장흥 유치로 연결되는 지방도 839호선 확장(4차선)공사가 지난 2004년부터 무려 20여년 가까이 지지부진 끌어오고 있다”며 “조기완공과 함께 장평봉림에서 장동배산(국도2호선)으로 이어지는 9.5km 구간 확장(4차선)을 통해 일시적인 광주~장흥간 직선화도로망을 구축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김 지사는 장흥지역 주민들의 도로망 취약으로 인한 교통불편은 충분히 이해되지만, 지방도로 년간 예산 가용이 1000억원인 점을 감안 장흥구간만 집중 투자할 수 없는 예산한계가 있다며 국가(국토부)차원의 지원 방안을 찾아 보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유일하게 광주~장흥구간만이 직선화도로가 없는 상태로 장흥지역 주민들의 원성이 높다. 장흥을 제외한 전 시·군이 광주권과 ‘사통팔달’교통망이 구축되어 있지만, 장흥만 없어 장흥에서 광주 왕래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장흥에서 광주권을 잇는 도로 가운데 광주 동구에서 화순(능주 이양)을 경유 보성으로 이어지는 국도29호선(4차선)이다. 광주~장흥간을 이용하는 가장 편리한 교통망은 화순 이양에서 갈라지는 지방도839호선과 820호선을 거쳐 나주에서 장흥방면으로 만나는 장흥 유치 늑용3거리 국도23호선(2차선)으로 장흥읍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황에도 진행 중인 지방도 839호선 확장공사는 2023년 말에, 지방도 820호선은 현재 설계단계로 2027년 이후 준공예정이다.
이러다 보니 전남 지역 대부분 시·군이 서울행 고속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지만, 장흥은 인접 영암과 화순을 경유하는 직행고속버스(일명 직행버스)로 서울을 오갈 수밖에 없어 지역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또 지난 2012년에 총 88만평 규모로 조성된 장흥바이오산업단지 역시 조성된지 10년 넘었는데도 수도권 등지 투자자들이 접근성이 취약하다는 이유로 꺼리는 바람에 분양률이 60%에 그치는 등 지역경제 유발효과와 관광객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 왕윤채 장흥군의회 의장은 “광주~장흥간 직선화도로는 중남부권 중심부를 관통하는 핵심도로 뿐 아니라 전남균형발전 촉매제 역할이 기대된다”며 “정부와 전남도가 특정지역 도로망 구축을 떠나 정략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흥=김용기 기자·중부취재본부장 kykim@kwangju.co.kr
장흥군의회가 국토건설부와 전남도를 상대로 광주~장흥간 직선화도로 개설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장흥군의회는 최근 김영록 전남도지사를 만나 “화순이양에서 장흥 유치로 연결되는 지방도 839호선 확장(4차선)공사가 지난 2004년부터 무려 20여년 가까이 지지부진 끌어오고 있다”며 “조기완공과 함께 장평봉림에서 장동배산(국도2호선)으로 이어지는 9.5km 구간 확장(4차선)을 통해 일시적인 광주~장흥간 직선화도로망을 구축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도 진행 중인 지방도 839호선 확장공사는 2023년 말에, 지방도 820호선은 현재 설계단계로 2027년 이후 준공예정이다.
이러다 보니 전남 지역 대부분 시·군이 서울행 고속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지만, 장흥은 인접 영암과 화순을 경유하는 직행고속버스(일명 직행버스)로 서울을 오갈 수밖에 없어 지역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또 지난 2012년에 총 88만평 규모로 조성된 장흥바이오산업단지 역시 조성된지 10년 넘었는데도 수도권 등지 투자자들이 접근성이 취약하다는 이유로 꺼리는 바람에 분양률이 60%에 그치는 등 지역경제 유발효과와 관광객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 왕윤채 장흥군의회 의장은 “광주~장흥간 직선화도로는 중남부권 중심부를 관통하는 핵심도로 뿐 아니라 전남균형발전 촉매제 역할이 기대된다”며 “정부와 전남도가 특정지역 도로망 구축을 떠나 정략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흥=김용기 기자·중부취재본부장 ky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