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선·김대중 당선인 ‘교육 대전환’ 주목된다
2022년 06월 08일(수) 00:05
6·1 지방선거로 광주시교육청과 전남도교육청의 수장이 바뀌어 광주·전남 교육 행정에 일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당선인과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당선인은 다음달 1일 취임한다. 이 당선인은 전교조 출신으로 3선 연임한 장휘국 교육감에 이어 광주 교육을 맡으면서 교육 정책의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전교조 출신인 김 당선인은 복지 정책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당선인은 그동안 진보 교육감 체제에서 학생들의 성적이 하락하고 있다는 진단을 내리고 ‘실력 광주 회복’을 약속했다. 초등학교 기초학력 전담 교사 배치, 광주형 수업 아카데미 구축, 맞춤형 학습 지원 체계 구축 등을 구체적 실행 계획도 제시했다. 김 당선인도 학력을 끌어올리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전략 산업에 기반한 일자리를 만들고, 맞춤형 교육으로 인재를 키우는 ‘전남형 교육자치 실현’도 약속했다. 학생 학습권을 회복하고 디지털에 기반한 맞춤형 교육을 하겠다고 공약하기도 했다.

시도 교육청이 추진할 교육복지 확충 정책도 주목된다. 이 당선인은 광주 학생 교육비를 1인당 연간 100만 원씩 지급할 방침이다. 김 당선인은 “교육 기본소득은 완전 무상 교육으로 가는 첫걸음”이라며 학생 1인당 월 20만 원씩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과 교육복지 공약을 적절하게 녹여내는 일일 것이다. 새로 취임할 교육감이 자신의 공약과 철학을 교육 현장에 접목하고 관철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하지만 교육 현장이 갖는 특수성과 민감성을 고려할 때 교육감이 바뀌었다고 모든 것을 일순간에 뒤바꿔 버리려 한다면 학교 현장은 큰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교육 현장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공약을 차질없이 추진해 광주·전남 미래 인재 양성이라는 과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길 바란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