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수명 연장 추진 안전성 확보가 먼저다
2022년 04월 07일(목) 00:05 가가
윤석열 정부가 출범도 하기 전부터 탈원전 정책 폐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내년 4월 설계 수명 만료를 앞둔 부산 고리 2호기 원자력발전소의 수명 연장을 공식화했다. 고리 2호기에 대한 ‘계속 운전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규제 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했다고 공개한 것이다.
이는 내년 4월 폐기 예정이던 고리 2호기의 수명을 연장한다는 의미로, 윤석열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에 맞춰 본격적인 행동이 시작됐음을 예고한다. 윤 당선인은 대선 기간 안전성 검토를 거쳐 2030년까지 수명이 다하는 원전 열 기의 가동 연장을 공언해 왔다. 고리 2호기의 수명이 연장되면 오는 2025년과 2026년 각각 설계 수명(40년)이 만료되는 영광 한빛원전 1·2호기도 순차적으로 수명 연장을 통해 가동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한빛원전이 그동안 잦은 고장과 사고로 악명이 높았다는 데 있다. 영광에는 여섯 기의 한빛원전이 있는데 지난 1985년과 1986년 각각 운영 허가를 받아 노후화된 1·2호기는 지금까지 100여 건의 크고 작은 고장과 사고를 일으켰다.
1호기는 2019년 원자로 통제 핵심 장치인 제어봉 낙하 사고로 출력이 급증하면서 폭발 직전까지 갔고, 2호기는 증기 발생기가 문제를 일으켰다. 아울러 1·2호기는 돔 시멘트에 수십 개의 공극(빈 구멍)과 1000여 개가 넘는 철판 결함이 발견돼 부실시공 의혹까지 제기됐다.
영광에서 144만 명이 거주하는 광주시까지 직선거리는 35㎞에 불과하다. 환경단체는 2014년 풍선 실험을 통해 누출 사고 발생 시 한 시간 남짓 지나면 방사능이 광주까지 도착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그런 만큼 수명 연장을 하려면 안전성부터 확보해야 한다. 탈원전 폐기 정책이 주민 생명을 위협한다면 재고할 필요가 있다. 안전 대책이 먼저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영광에서 144만 명이 거주하는 광주시까지 직선거리는 35㎞에 불과하다. 환경단체는 2014년 풍선 실험을 통해 누출 사고 발생 시 한 시간 남짓 지나면 방사능이 광주까지 도착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그런 만큼 수명 연장을 하려면 안전성부터 확보해야 한다. 탈원전 폐기 정책이 주민 생명을 위협한다면 재고할 필요가 있다. 안전 대책이 먼저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