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초대 내각 광주·전남 출신 중용될까
2022년 04월 05일(화) 00:05 가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새 정부 초대 국무총리에 한덕수 전 총리를 지명한 데 이어 주요 부처 장관 후보와 대통령실 참모진 구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어제 브리핑에서 “다음 주 이내에 새 정부의 전체적인 내각 발표와 구상을 설명드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취지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에 인사 청문을 요청하면 통상 3주 정도 논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내각 출범을 하려면 이달 중순까지는 조각(組閣)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18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내부 압축이 어느 정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르면 이번 주 내 상당수 장관 후보자들이 발표될 전망이다.
경제·안보 라인을 중심으로 부총리나 장관들에 대한 하마평도 무성하다. 윤 당선인은 특히 내각을 꾸리는 과정에서 책임 총리·책임 장관제를 내세우고 있어 주목된다.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에게 인사권과 독립성을 폭넓게 보장해 책임 내각을 구현하고 대통령실의 권한은 대폭 줄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는 제왕적 대통령제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광주·전남에서는 새 정부 내각에 지역 출신 인사들이 얼마나 중용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윤 당선인의 인재풀에 광주·전남 인사들이 극소수이기 때문이다. 이런 시각에서 과거 보수 정권 시절처럼 잘해야 한두 명이 구색 맞추기식으로 기용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능력 우선’의 실용주의에 밀려 자칫 지역 인맥이 고사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국정의 최우선 과제인 국민 통합을 위해서는 지역과 실력을 함께 고려한 발탁이 이뤄져야 한다. 내각 인선은 새 정부의 국정 방향성을 읽을 수 있는 가늠자인 만큼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윤 당선인이 보다 큰 안목으로 국민 통합형 내각을 구성하기를 기대한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어제 브리핑에서 “다음 주 이내에 새 정부의 전체적인 내각 발표와 구상을 설명드려야 하지 않을까 하는 취지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에 인사 청문을 요청하면 통상 3주 정도 논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내각 출범을 하려면 이달 중순까지는 조각(組閣)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현재 18개 부처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내부 압축이 어느 정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르면 이번 주 내 상당수 장관 후보자들이 발표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