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글로벌 신산업 중심지’로 개발
2021년 02월 25일(목) 22:30
2단계 기본계획 변경안 확정
2030년까지 기반시설 완비
2050년까지 인구 27만 도시로

정세균(가운데)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새만금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만금이 인구 27만 도시로 조성된다. 앞으로 10년 내 도로·공항·항만 등 기반시설을 완비하고 글로벌 신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토대를 갖추고 2050년까지는 100% 개발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25일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새만금위원회는 지난 24일 전북도청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25차 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2단계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안’을 심의·확정했다.

변경안은 새만금의 비전을 ‘글로벌 자유무역 중심지’에서 ‘그린 성장을 실현하는 글로벌 신산업 중심지’로 바꿨다. 4차 산업혁명과 기후변화로 경제와 산업의 패러다임이 전환된 데 따른 것이다.

비전 변경에 따라 5대 개발 목표도 ▲세계를 선도하는 그린에너지와 신산업 허브 ▲모두가 살고 싶은 명품 수변도시 ▲친환경 첨단농업육성 거점 ▲특색 있는 관광·생태 중심도시 ▲세계로 열린 개방형 경제특구로 재설정했다.

2050년 사업 완료를 목표로 단계적으로 진행할 개발 로드맵도 기본계획에 담겼다. 당장 2030년까지 적용될 2단계 사업은 새만금 기반시설을 완성하고 인구 15만명의 저탄소 에너지 자립도시 기반을 조성하는데 맞춰졌다. 주요 기반시설은 신공항과 신항만, 도로, 스마트 그린산업단지 등이다.

속도감 있는 개발을 위해 민간자본으로 만들 예정이었던 내부 간선도로의 주요 구간은 국가가 직접 건설하는 등 공공의 역할을 강화한다.

새만금공사와 한국수자원공사 등 공기업도 그린수소복합단지, 항만경제특구, 상수관로 조성 등에 참여시킬 계획이다.

방대한 새만금을 5대 권역으로 나눠 개발하기로 하고, 먼저 2030년까지 스마트 그린산단 및 공항경제특구, 그린수소 복합단지 및 항만경제특구, 관광·신산업 복합단지 등 3개 권역을 추진한다.

이들 경제특구에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권, 저렴한 장기 임대용지 제공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해 민간투자를 대거 유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새만금을 에너지 자립, 물과 자원이 순환하는 녹색도시로 만드는 데도 힘을 기울이기로 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이들 사업을 통해 2단계 종료 시점인 2030년까지 새만금 개발률을 78%까지 끌어올리고 2040년 87%를 거쳐 2050년에는 100%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새만금의 정주 인구는 27만명, 총 유발인구는 70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새만금개발청은 설명했다.

새만금 기본계획은 새만금의 비전과 개발전략을 담은 것으로, 지난해 1단계 기본계획이 완료된 데 따라 이번 안이 마련됐다.

/박정욱 기자 jwpark@kwangju.co.kr

/군산=박금석 기자 nogusu@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