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여론 수렴 뒤 출마 결심…‘대권주자’ 몸집 불리기
2020년 05월 28일(목) 00:00
이낙연 ‘당권 도전’ 결정
당권주자들과 개별 회동
홍영표·우원식과 3파전 될 듯
지지율 압도 대세론 형성될 수도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당선인이 27일 오전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민주당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 8월 전당대회 출마 결심을 굳히면서 당권 경쟁 구도가 출렁이고 있다.

이 위원장이 당 대표 출마의사를 굳힘에 따라 대권 도전도 가시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차기 대권주자 지지율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이 위원장이 당권까지 잡는다면 당내 지지기반을 확대하면서 확실한 대권주자로서 몸집을 불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 위원장은 최근 일부 당권 주자들을 잇따라 만나 “도와달라”고 요청하는 등 내부 조율 끝에 당 대표 출마 결심을 한 것으로 알려져 조만간 당권 주자간 교통 정리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럴 경우 당 대표 경선도 ‘이낙연 대세론’으로 흘러갈 것 이라는 관측이 일부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홍영표·우원식 의원은 이 위원장과 상관없이 전대에 출마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면서 당내 친문(親文·친 문재인) 성향의 표심 향배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당 안팎에서는 초반 당권 레이스가 이낙연·홍영표·우원식 의원의 3파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지만, 영남권에 기반을 둔 대권 잠룡인 김부겸·김두관 의원이 아직까지 당권 도전 여부를 확정하지 않아 이들의 출마 여부도 향후 당 대표 선거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위원장 측은 27일 광주일보와 통화에서 “최근 이 위원장은 홍영표·송영길·우원식 의원 등 당대표 출마 주자들과 잇따라 개별 회동을 가졌다”고 밝혔다.이 위원장은 21대 국회의원 당선인들을 비롯해 홍영표·송영길·우원식 의원 등 당권 주자들을 만나 당내 여론을 폭넓게 수렴했고, 결국 ‘정면 돌파’를 택했다.

지난 24일엔 고흥 출신 송영길 의원을 만나 “당권 도전을 도와달라”고 직접적으로 요청했고 송 의원도 “돕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의원은 이 위원장과 같은 전남 출신이라는 점에서, 함께 출마한다면 호남 표 분산 등으로 당권을 잡기가 쉽지 않은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이 위원장이 사전 조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 위원장은 최근 홍영표 의원과 만나 전당대회 출마 관련한 의견을 나눴고 홍 의원은 이 위원장에게 ‘출마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이 위원장은 이어 지난 26일에는 우원식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의원실을 직접 찾아 10~20분간 이야기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우 의원은 완곡하게 출마를 강행하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시간을 두고 불출마 선언이 잇따르면서 전당대회가 사실상 이 위원장을 추대하는 행사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벌써부터 고개를 들고 있다.당내 코로나19 극복의 선두이자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인 이 위원장과 당권을 놓고 경쟁하는 것에 명분과 실익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 위원장이 대표가 되더라도 대선출마시 당권·대권 분리규정에 따라 내년 3월에 사퇴하게 된다는 점도 다른 주자들의 최종 선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이 당권을 잡는다면, 대권 가도를 위한 당내 기반을 충분히 다질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권 주자로서의 높은 지지율에 비해 당내 기반은 취약했다는 평을 받는 이 위원장이 당 대표로 선출되면 초선 비율이 높은 광주·전남 당선인들도 국회 연착륙의 토대를 닦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일부 당권 주자들과의 경쟁 과정에서 ‘흠집’이 날 수 있고, 이는 대선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위원장이 당내 친문 성향 의원들의 표심을 어떻게 이끌어내느냐도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민주당의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이 위원장이 당권 도전을 결정하는 데 부담으로 작용해왔다. 당권을 잡더라도 대선에 나서려면 임기 2년을 못 채우고 내년 3월에 중도 사퇴해야 한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권과 대권을 동시에 노리는 이 위원장으로서는 ‘6개월 당 대표 임기’가 득보다는 실이 많을 수 있다는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