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 국가
2020년 03월 31일(화) 00:00 가가
개인도 그렇지만 한 사회나 국가의 수준도 위기에서 드러난다. 불안과 고통 속에서도 평정을 유지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개인이나 국가가 번영하고 미래를 개척해 나간다.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속에서 드러난 대한민국의 현실은 위기에서도 역동적으로 연대하고 헌신하는 시민이 있어 미래가 어둡지 않다.
코로나19 사태 초기, 전국의 보건·의료진들은 지역 감염이 폭발한 대구·경북으로 달려갔다. 바람도 통하지 않는 불편한 방호복을 착용하고, 식사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열악한 상황에서, 땀에 젖은 모습으로 환자를 돌보는 그들의 모습은 ‘헌신’의 귀감이 됐다.
나눔과 연대의 ‘광주 정신’도 위기 속에서 빛났다. 광주시는 코로나 환자 급증으로 대구시가 어려움을 겪자 ‘병상 나눔’에 나섰다. 전남은 자원봉사자들이 만든 ‘사랑의 도시락’을 대구·경북 의료진들과 환자들에게 보냈다. 지역 이기주의를 넘어 동서 화합의 지평을 넓힌 광주·전남의 응원은 상생의 정신을 전국으로 번지게 하는 계기가 됐다. 지금도 마스크 보내기는 기본이고 각 지역의 특산물을 대구·경북 등 코로나로 고통받는 지역에 보내는 응원의 행렬은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 사태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경제적 약자들을 위한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임차 소상공인들에게 자발적으로 임대료를 인하해 주는 ‘착한 건물주 운동’이 시발점이 됐다. 이는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가맹점 돕기, 농어민들을 위한 농수산물 팔아 주기, 택시 회사들의 사납금 인하 등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알바(아르바이트) 노조가 음식점 사장님들을 돕기 위한 유쾌한 ‘과식 투쟁’에 나서는가 하면 소상공인들을 위한 ‘착한 선결제’ 움직임도 공감대를 넓히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대한민국이 마주하고 있는 난관들은 결코 헤쳐 나가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겨울 눈폭풍 속에서도 결국 봄이 오듯이 시민들의 헌신과 상생의 힘은 시련 극복은 물론 한국 사회의 품격을 높이고 더 나은 미래를 열어갈 것이리라 믿는다.
/임동욱 선임기자 겸 서울취재본부장 tuim@kwangju.co.kr
나눔과 연대의 ‘광주 정신’도 위기 속에서 빛났다. 광주시는 코로나 환자 급증으로 대구시가 어려움을 겪자 ‘병상 나눔’에 나섰다. 전남은 자원봉사자들이 만든 ‘사랑의 도시락’을 대구·경북 의료진들과 환자들에게 보냈다. 지역 이기주의를 넘어 동서 화합의 지평을 넓힌 광주·전남의 응원은 상생의 정신을 전국으로 번지게 하는 계기가 됐다. 지금도 마스크 보내기는 기본이고 각 지역의 특산물을 대구·경북 등 코로나로 고통받는 지역에 보내는 응원의 행렬은 이어지고 있다.
/임동욱 선임기자 겸 서울취재본부장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