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亞와 철의 실크로드 시대 여는 것이 우리의 미래”
2019년 04월 24일(수) 00:00 가가
문 대통령 순방 마무리…“카자흐 자원부국, 신북방정책 좋은 파트너”
문재인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과 함께 ‘철의 실크로드’ 시대를 여는 것이 우리의 미래”라며 “순방의 성과가 우리 경제의 활력으로 이어지도록 챙기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을 끝으로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방문 일정을 마무리하고 이날 귀국길에 오르기 직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런 순방 소회를 밝혔다.‘철의 실크로드’란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을 철도·도로로 연결해 물류의 혈맥을 잇겠다는 것으로, 남북한 협력 사업 구상 중 하나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의 모든 광물을 가진 자원 부국이며 중앙아시아 최대의 물류·경제 중심국으로서 실크로드의 역동성을 되살리고 있다”며 “유럽-중동-아시아를 연결하는 지리적 요충지 카자흐스탄은 북방정책에 더없이 좋은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또 “스스로 핵보유국의 지위를 포기하고 비핵화의 길을 택해 외교적 안정과 경제 발전을 이룬 카자흐스탄의 경험은 한반도 평화의 여정에 큰 교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독립운동가인 계봉우·황운정 지사의 유해를 카자흐스탄에서 한국으로 봉환한 것에 대해서도 “독립운동의 역사는 대한민국의 뿌리다. (유해 봉환은) 그분들이 헌신한 조국의 도리”라며 “봉환을 도와준 카자흐스탄 정부, 유족들과 고려인 사회에 깊이 감사드린다”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의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을 향해서도 “최상의 예우와 환대를 해줬다”며 감사를 표했다.문 대통령은 “토카예프 대통령은 예정에 없이 정상회담 전날 제 숙소를 찾아와 친교의 저녁을 보내고, 비즈니스 포럼에 직접 참석했다.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과의 마지막 만찬에도 함께 했다”고 떠올렸다.
한편 문 대통령은 “순방 뒤에는 언제나 묵묵히 자기 역할을 다해주시는 분들이 있다”며 “이번 순방 중 공군 1호기 박익 기장의 부친 박영철 님께서 영면하셨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신 아버님은 아들에게 ‘임무를 다하고 돌아오라’는 유언을 남기셨고, 아들도 끝까지 조종석을 떠나지 않았다”며 “애도와 감사의 인사를 함께 드린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을 끝으로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방문 일정을 마무리하고 이날 귀국길에 오르기 직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런 순방 소회를 밝혔다.‘철의 실크로드’란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을 철도·도로로 연결해 물류의 혈맥을 잇겠다는 것으로, 남북한 협력 사업 구상 중 하나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의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을 향해서도 “최상의 예우와 환대를 해줬다”며 감사를 표했다.문 대통령은 “토카예프 대통령은 예정에 없이 정상회담 전날 제 숙소를 찾아와 친교의 저녁을 보내고, 비즈니스 포럼에 직접 참석했다.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초대 대통령과의 마지막 만찬에도 함께 했다”고 떠올렸다.
한편 문 대통령은 “순방 뒤에는 언제나 묵묵히 자기 역할을 다해주시는 분들이 있다”며 “이번 순방 중 공군 1호기 박익 기장의 부친 박영철 님께서 영면하셨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신 아버님은 아들에게 ‘임무를 다하고 돌아오라’는 유언을 남기셨고, 아들도 끝까지 조종석을 떠나지 않았다”며 “애도와 감사의 인사를 함께 드린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