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 경영 어려운 지역 농축협 통·폐합 속도 낸다
2025년 11월 24일(월) 18:55 가가
농협중앙회 경쟁력 강화·경영화 기반 마련 규모화 방안 발표
전남 16개군 인구감소지역 지정…농업소득 증대 등 대책 절실
전남 16개군 인구감소지역 지정…농업소득 증대 등 대책 절실
농협이 지역 농협의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고령화와 저출산 등으로 조합원인 농민 인구가 급감한 상황에서 무분별한 부동산 대출 등으로, 적자 농협이 급증해 지속 가능성이 우려되는 만큼 지역 농협 통·폐합을 통해 슬림화를 추진하면서 조직을 재정비하고 농업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지역 농협들 사이에서는 합병 대상에 포함될 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농협중앙회는 24일 농·축협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경영기반 마련을 위해 합병을 통한 규모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경영비 절감과 농업 생산성 향상을 통한 수취가를 높여 농업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농·축협 합병을 통한 규모화로 지역 농협의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구상이다.
지역소멸, 조합원 감소, 경영 악화 등으로 장기적 경영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에 위기를 맞고 있는 지역 농협의 실정을 감안, 경영진단을 통해 자립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농·축협을 선별해 합병을 권고키로 했다.
농협중앙회는 이미 ‘농업협동조합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2001년부터 10개 농·축협 합병을 마무리했고 현재도 4개 농·축협 합병이 진행중이다.
농협중앙회는 향후 농·축협 합병과 관련, 경영 자립도를 기준으로 조합원 수·배당 여력·경영규모 등의 평가 기준에 따라 경영 진단을 실시해 선별한다는 계획이다.
농협중앙회는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농·축협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합병을 통한 규모화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영 합병 대상 농협이 늘어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앞서,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무분별한 부동산 대출로 농촌 자금이 도시 부동산 투자로 이동하면서 한 때 18곳(2022년)에 그쳤던 적자 농협이 지난해 52곳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민주당 임호선 의원은 농업 비중이 큰 경북·충남·전남의 권역외 대출이 서울의 권역외 대출 총액의 4~5배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당기순이익이 적자를 기록한 광주·전남지역 농·축협(10월 말 기준)도 10곳이 넘는 것으로 국회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바 있다. 광주·전남지역 농·축협은 모두 158개(광주 14개, 전남 144개)다.
여기에 전남의 경우 16개 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인구 감소가 심각해 지역소멸 위기에 봉착한데다, 농업소득도 1000만원수준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농협전남본부가 ‘1농협 1대표사업’을 통해 농민들의 농업 소득 증대에 공을 들여온 것도 이러한 지역 농업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지역 농·축협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사업을 발굴, 지원함으로서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농업 소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농협 전남본부가 추진한 배경이다.
농협중앙회는 합병 활성화와 함께 합병 농축협의 조기 경영 안정화에도 나서 합병 등기시 지원하는 기본자금 확대, 합병손실 보전기간 연장, 합병의결 추진비용 현실화 등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농축협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합병을 통한 규모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지역소멸, 조합원 감소, 경영 악화 등으로 장기적 경영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에 위기를 맞고 있는 지역 농협의 실정을 감안, 경영진단을 통해 자립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농·축협을 선별해 합병을 권고키로 했다.
농협중앙회는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농·축협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합병을 통한 규모화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영 합병 대상 농협이 늘어날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앞서,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무분별한 부동산 대출로 농촌 자금이 도시 부동산 투자로 이동하면서 한 때 18곳(2022년)에 그쳤던 적자 농협이 지난해 52곳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민주당 임호선 의원은 농업 비중이 큰 경북·충남·전남의 권역외 대출이 서울의 권역외 대출 총액의 4~5배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당기순이익이 적자를 기록한 광주·전남지역 농·축협(10월 말 기준)도 10곳이 넘는 것으로 국회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바 있다. 광주·전남지역 농·축협은 모두 158개(광주 14개, 전남 144개)다.
여기에 전남의 경우 16개 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인구 감소가 심각해 지역소멸 위기에 봉착한데다, 농업소득도 1000만원수준에 불과해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농협전남본부가 ‘1농협 1대표사업’을 통해 농민들의 농업 소득 증대에 공을 들여온 것도 이러한 지역 농업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지역 농·축협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사업을 발굴, 지원함으로서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농업 소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농협 전남본부가 추진한 배경이다.
농협중앙회는 합병 활성화와 함께 합병 농축협의 조기 경영 안정화에도 나서 합병 등기시 지원하는 기본자금 확대, 합병손실 보전기간 연장, 합병의결 추진비용 현실화 등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농축협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 마련을 위해 합병을 통한 규모화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