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 바우처택시, 민원 급증”…“후할인 전환·운영체제 개편 필요”
2025년 11월 09일(일) 11:20
행정사무감사서 김용임 시의원 지적…“지정제 한계 드러나, 이용자 중심으로 재설계해야”
광주시가 교통약자의 대기시간을 줄이겠다며 도입한 바우처 택시에 민원이 쌓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의힘 김용임(비례)시의원은 사)광주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행정사무감사에서 “바우처 택시 민원 증가는 현장과 괴리된 운영의 한계가 드러난 것”이라며 “대상자 특성을 반영한 이용자 중심 체계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바우처 택시는 2022년 8월 시범 도입돼 휠체어 이용자는 특장차로, 비휠체어 이용자는 임차택시·바우처택시로 분리 배차하는 방식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바우처 택시 관련 민원은 2022년 1건, 2023년 20건, 2024년 92건으로 급증했고, 2025년에는 9월까지 25건이 접수됐다.

민원 유형은 ‘기사 응대’와 ‘운행 품질’이 많았다. “운전원 배우자가 동승했다”, “정체를 이유로 언성을 높이고 운행 중 통화했다”, “현장에 오지 않고 임의 취소 처리했다”, “이용자를 비하하는 태도를 보였다” 등의 민원이다.

센터가 매년 공고로 사업자를 모집해 왔지만 운영 건전성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2025년 2월에는 민원 다발·콜수 미달 등을 이유로 20명의 협약을 해지했고, 4월에도 3명을 추가 해지했다. 4대 보험 미가입 및 퇴사자 20명에 대해서도 협약을 종료했다.

2023년에는 이용자 본인 미탑승, 보호자·가족의 단독 탑승, 경유콜에서 보호자·가족의 중도 승하차 등 부정 이용이 적발돼 제재 안내가 이뤄졌다.

김 의원은 지정 사업자만 이용할 수 있는 현 구조가 대기시간과 서비스 품질 모두에서 병목을 만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할인 방식에서 후할인 방식으로 바꾸면 모든 택시를 활용할 수 있어 대기 부담을 줄일 수 있다”며 “이용자는 접근성을, 기사들은 안정적 수익을 얻고 ‘친절한 광주 택시’라는 인식 개선도 기대된다”고 했다.

이어 “일부 사례가 전체 택시업계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다”며 “행정 편의주의를 벗어나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