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도 탐낸 K-조선…현실은 ‘노동자의 무덤’
2025년 05월 28일(수) 20:30 가가
영암대불산단 끊이지 않는 사고
올해만 9명 사망…외국인도 2명
중대재해 위기경보 ‘심각’ 격상
올해만 9명 사망…외국인도 2명
중대재해 위기경보 ‘심각’ 격상
대규모 조선사업장 HD현대삼호를 비롯해 조선업 협력업체가 밀집한 영암대불산단 내에서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간 조선 협력 방안이 거론되며 호황기를 맞이했음에도, 열악한 처우와 ‘위험의 외주화’ 등으로 조선해운업의 산재 피해자가 잇따르면서 구조 개선이나 현장 안전관리 감독 강화 등 구체적인 조선소 내 산재 방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8일 고용노동부 목포지청에 따르면 대불산단에는 지난 23일 중대재해 위기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됐다. 같은 날 대불산단 내 선박 구조물 제작업체에서 작업자가 16t 지게차에 깔려 숨지면서다.
◇올해도 끊이질 않는 사고…안전은 뒷전=대불산단에서는 올 들어 노동자가 작업 현장에서 목숨을 잃는 사고가 잇따랐다.
지난 1월 17일 한 업체에서 작업자가 환기창 붕괴로 13m 아래로 추락해 숨지고, 불과 하루 뒤인 18일에는 지붕 개량공사 중 채광창이 깨지며 작업자가 4.5m 아래로 떨어져 사망했다.
지난 3월 8일에는 (주)유일6공장에서 차량과 벽 사이에 작업자가 끼어 숨지고, 같은 달 22일 (주)보원M&P-청마이엔지에서 용접 작업자가 화재로 사망했다. 25일에는 (주)명일에서 크레인 클램프 이탈 사고로 작업자가 자재에 깔려 숨졌다.
지난달 16일 (주)유일6공장에서 태양광 수리 작업자가 20m 아래로 추락해 사망하고, 같은 달 18일 HD현대삼호중공업 사내업체인 인우산업에서 작업자가 아침 체조 중 쓰러져 숨졌다.
지난 17일도 HD현대삼호중공업 내 용접 전 구조물 고정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2.7m 아래로 추락해 치료 중 숨졌다.
고용노동부가 밝힌 지난해 광주·전남 지역 산업재해자는 1만6075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245명에 달했다. 지난 2023년에도 1만4878명이 산재 피해를 입었고 206명이 숨졌다.
◇정부, 인력 핑계로 점검도 겉핥기=전문가들은 하도급 등 근본적인 문제가 남아 있는 한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고된 업무로 외국인 노동자들이 현장을 지키는데다, 바쁜 건조 일정에 사업장 내 만연한 하도급으로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점, 현장에 다양한 외국인들이 근무하면서 쉽지 않은 소통 부재가 안전관리 미숙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5년 간 전남지역 등록 외국인 증가율은 74.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대불산단이 위치한 영암의 경우 외국인노동자는 9689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9%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이런데도 고용노동부의 점검은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목포·무안·영암·해남·강진·신안·완도 지역을 관할하는 목포지청만 하더라도 3명의 인력이 259개 일반사업장에 대한 근로감독, 노무관리 등을 맡고 있어 사실상 사고 발생 뒤에야 사업장 조사가 이뤄지는 ‘사후약방문’ 점검이 일상화된 형편이다.
김춘호 변호사(광주민중의집 운영위원)는 “고용주가 불법 고용에 따른 처벌을 피하기 위해 사고 자체를 숨기는 경우도 많다”며 “고용 형태를 투명하게 만들고, 책임 주체가 불분명한 하도급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는 28일 성명을 내고 “대불산단에서 죽음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며 “조선업 불법 다단계 하도급 구조를 개선하고, 모든 노동자에게 4대보험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간 조선 협력 방안이 거론되며 호황기를 맞이했음에도, 열악한 처우와 ‘위험의 외주화’ 등으로 조선해운업의 산재 피해자가 잇따르면서 구조 개선이나 현장 안전관리 감독 강화 등 구체적인 조선소 내 산재 방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도 끊이질 않는 사고…안전은 뒷전=대불산단에서는 올 들어 노동자가 작업 현장에서 목숨을 잃는 사고가 잇따랐다.
지난 3월 8일에는 (주)유일6공장에서 차량과 벽 사이에 작업자가 끼어 숨지고, 같은 달 22일 (주)보원M&P-청마이엔지에서 용접 작업자가 화재로 사망했다. 25일에는 (주)명일에서 크레인 클램프 이탈 사고로 작업자가 자재에 깔려 숨졌다.
지난 17일도 HD현대삼호중공업 내 용접 전 구조물 고정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2.7m 아래로 추락해 치료 중 숨졌다.
고용노동부가 밝힌 지난해 광주·전남 지역 산업재해자는 1만6075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245명에 달했다. 지난 2023년에도 1만4878명이 산재 피해를 입었고 206명이 숨졌다.
◇정부, 인력 핑계로 점검도 겉핥기=전문가들은 하도급 등 근본적인 문제가 남아 있는 한 문제가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고된 업무로 외국인 노동자들이 현장을 지키는데다, 바쁜 건조 일정에 사업장 내 만연한 하도급으로 안전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점, 현장에 다양한 외국인들이 근무하면서 쉽지 않은 소통 부재가 안전관리 미숙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5년 간 전남지역 등록 외국인 증가율은 74.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대불산단이 위치한 영암의 경우 외국인노동자는 9689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9%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
이런데도 고용노동부의 점검은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목포·무안·영암·해남·강진·신안·완도 지역을 관할하는 목포지청만 하더라도 3명의 인력이 259개 일반사업장에 대한 근로감독, 노무관리 등을 맡고 있어 사실상 사고 발생 뒤에야 사업장 조사가 이뤄지는 ‘사후약방문’ 점검이 일상화된 형편이다.
김춘호 변호사(광주민중의집 운영위원)는 “고용주가 불법 고용에 따른 처벌을 피하기 위해 사고 자체를 숨기는 경우도 많다”며 “고용 형태를 투명하게 만들고, 책임 주체가 불분명한 하도급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는 28일 성명을 내고 “대불산단에서 죽음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며 “조선업 불법 다단계 하도급 구조를 개선하고, 모든 노동자에게 4대보험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