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 건의…특교세 13억 포함
2025년 05월 18일(일) 20:00
광주시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수습을 위해 행정안전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청했다.

18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광주시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현장을 찾은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했다.

광주시는 광산구가 특별교부세 13억원을 포함한 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함에 따라 이같이 요청했다. 특별재난지역은 정부가 재난상황을 효과적으로 수습하기 위해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 국고 등의 지원을 위해 선포한다.

광주시는 장기간 공장 중단으로 발생할 파장에 대비하고 수습책을 마련하고 있다. 당장 공장이 장기간 가동되지 않게 됨에 따라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노동자들의 경제적 상황이 악화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금호타이어가 소재하고 있는 광산구는 고용노동부에 산업고용위기지역 검토를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산업고용위기지역이 지정되면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노동자 한명 당 하루 7만원 정도의 수준의 지원금이 지원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 업계 파급효과로 기아차와 광주글로벌모터스에 대한 파장은 미비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금호타이어가 납품되는 차량(펠리세이드. EV9 등) 생산라인이 광주지역에는 없다는 점에서다.

화재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역민들의 건강권에 대한 모니터링도 당분간 지속될 방침이다.

광주시는 영산강유역 환경청과 광주시 보건 환경연구원과 함께 화재로 인한 실시간으로 오염과 인체유해성을 파악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오염수준과 인체 유해성은 미비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광주시는 광산구 보건소 등에 피해 주민의 실태파악을 위해 피해 접수창구도 조만간 개설할 방침이다. 지역민들의 차량 등 개별 물품에 대한 피해는 접수창구를 통해 접수하고 심의를 거쳐 금호타이어 측과 협의해 보상을 진행한다는 것이다. 또 광주시는 보유중인 방진마스크 8500여개를 필요한 지역에 배부하고 있고 대피를 희망하는 지역민을 위해 광주여대 체육관에 대피소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강기정 광주시장은 19일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대응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