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도 소상공인도 벼랑 끝…민생 살리기 최우선 과제
2025년 04월 09일(수) 19:45 가가
윤석열 파면 이후 대한민국의 과제 <하> 경제 위기
계엄 이후 경기지수 연일 최저치
경기·소비 침체…물가 상승 장기화
광주경총, 차기정부 제안 공약 마련
계엄 이후 경기지수 연일 최저치
경기·소비 침체…물가 상승 장기화
광주경총, 차기정부 제안 공약 마련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가장 시급한 과제로 ‘민생’이 부각되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전부터 이어지던 경기 침체는 불법 비상계엄 조치 이후 한층 심화됐으며, 광주·전남을 중심으로 중소상공인들의 고통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오는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차기 정부 대선 후보들을 향해 대선 공약과 국정 과제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적극 반영하고, 민생 회복에 주력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달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22년 5월 윤 전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월에는 98.5로 소폭 반등했지만, 세 달 연속 하락세 이후의 미미한 상승이라 경기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광공업 및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내수 출하지수 등 7개 지표로 구성돼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다.
경기지수 하락세는 특히 정치적 혼란이 극에 달했던 작년 12월 불법 비상계엄 전후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윤 전 대통령 임기 중 경기지수는 등락을 반복했으나 뚜렷한 반등 없이 하락세를 이어왔고, 12월 이후에는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경기 침체는 다른 경제 지표에서도 확인된다.
기업의 매출과 생산 등 주요 경영 활동의 결과와 전망을 지수화한 ‘기업경기조사(BSI)’는 작년 11월 91.8에서 12월 87.3으로 급락했다. 이후 올해 1월 85.9, 2월 85.3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업과 소비자 등 민간의 경제 심리를 나타내는 ‘경제심리지수(ESI)’ 순환변동치도 작년 11월 91.3에서 12월 90.2, 1월 89.2, 2월 88.3, 3월 87.3으로 5개월 연속 감소하며 경제 상황의 어려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을 덮친 경기 악화는 더 심각하다.
광주지역 산업단지들은 경기 침체에 더해 소비 부진과 물가 상승이 겹치면서 발주량마저 끊기고 있다. 주문이 줄어들자 생산도 감소했고, 전체 생산액도 급격히 줄고 있다.
하남·진곡·첨단·평동 등 광주 7개 산업단지의 누계 생산액은 2022년 3분기 기준 29조 7517억원에서 2023년 28조 3250억원, 2024년 3분기에는 28조 2153억원으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소상공인 역시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3고(高)’에 짓눌려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결국 참다 못한 지역 경제 단체들은 차기 정부를 꾸리게 될 대선 출마 후보들을 향해 지원 대책 마련 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광주경영자총협회(광주경총)는 이번 조기 대선에 앞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광주경총은 회원사 및 지역 소상공인의 의견을 반영해, 차기 정부에 제안할 ‘10대 대선 공약’까지 짜냈다. ▲소상공인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 확대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 지원 사업 확대 ▲외국인 노동자 제도 개선 ▲중소기업 일자리 지원 확대 ▲출산 장려를 위한 중소기업 임직원 간접세 감면 ▲중소기업 공동 브랜드 제품 구매 확대 ▲중소기업·소상공인 온라인 플랫폼 구축 ▲50인 미만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지원 ▲협동조합 지원 확대 등이다.
대선 주자들에게 최소한 이 정도 공약만이라도 반영해 달라는 게 지역 경제인들의 호소다.
양진석 광주경총 회장은 “벼랑 끝에 내몰린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전략적인 대선 공약 발굴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차기 정부는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지원 확대, 제조업 뿌리산업의 스마트화, 인력난 해소 등의 정책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달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22년 5월 윤 전 대통령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월에는 98.5로 소폭 반등했지만, 세 달 연속 하락세 이후의 미미한 상승이라 경기 회복세로 보기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광공업 및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내수 출하지수 등 7개 지표로 구성돼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다.
기업의 매출과 생산 등 주요 경영 활동의 결과와 전망을 지수화한 ‘기업경기조사(BSI)’는 작년 11월 91.8에서 12월 87.3으로 급락했다. 이후 올해 1월 85.9, 2월 85.3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기업과 소비자 등 민간의 경제 심리를 나타내는 ‘경제심리지수(ESI)’ 순환변동치도 작년 11월 91.3에서 12월 90.2, 1월 89.2, 2월 88.3, 3월 87.3으로 5개월 연속 감소하며 경제 상황의 어려움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을 덮친 경기 악화는 더 심각하다.
광주지역 산업단지들은 경기 침체에 더해 소비 부진과 물가 상승이 겹치면서 발주량마저 끊기고 있다. 주문이 줄어들자 생산도 감소했고, 전체 생산액도 급격히 줄고 있다.
하남·진곡·첨단·평동 등 광주 7개 산업단지의 누계 생산액은 2022년 3분기 기준 29조 7517억원에서 2023년 28조 3250억원, 2024년 3분기에는 28조 2153억원으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소상공인 역시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3고(高)’에 짓눌려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결국 참다 못한 지역 경제 단체들은 차기 정부를 꾸리게 될 대선 출마 후보들을 향해 지원 대책 마련 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광주경영자총협회(광주경총)는 이번 조기 대선에 앞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광주경총은 회원사 및 지역 소상공인의 의견을 반영해, 차기 정부에 제안할 ‘10대 대선 공약’까지 짜냈다. ▲소상공인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 확대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 지원 사업 확대 ▲외국인 노동자 제도 개선 ▲중소기업 일자리 지원 확대 ▲출산 장려를 위한 중소기업 임직원 간접세 감면 ▲중소기업 공동 브랜드 제품 구매 확대 ▲중소기업·소상공인 온라인 플랫폼 구축 ▲50인 미만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지원 ▲협동조합 지원 확대 등이다.
대선 주자들에게 최소한 이 정도 공약만이라도 반영해 달라는 게 지역 경제인들의 호소다.
양진석 광주경총 회장은 “벼랑 끝에 내몰린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전략적인 대선 공약 발굴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차기 정부는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지원 확대, 제조업 뿌리산업의 스마트화, 인력난 해소 등의 정책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