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제단체, GGM 노조 노사민정 중재안 수용 촉구
2025년 04월 08일(화) 20:05
광주상의·광주경총·GGM 주주단 등 “노사상생 정신 지켜야”
35만대 달성까지 파업 유보 등 안정적 생산·수출 협력 요구

<광주일보 자료사진>

광주지역 경제단체들이 노사 갈등을 겪고 있는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조에 대해,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 조정·중재 특별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제시한 중재안 수용을 촉구하고 나섰다.

GGM 주주단 역시 중재안 수용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 상생의 상징으로 출범한 GGM의 갈등이 봉합될 수 있을지 지역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광주상공회의소와 광주경영자총협회는 8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GGM 노조는 위원회 중재안을 수용하고 안정적인 생산과 경영 정상화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노조는 지난 2일 위원회가 제시한 중재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GGM의 지속적인 성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재안 수용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경제단체들은 또 “이번 중재안은 갈등 당사자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다양한 의견을 공정하고 균형 있게 반영하고, 광주형 일자리의 설립 취지와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마련된 것”이라며 “상생·화합·미래지향이라는 3대 원칙을 토대로 한 노사민정 대타협 정신과 헌법이 보장하는 노동 3권을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 구성된 만큼, 노조는 이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GGM 경영진은 노조의 요구사항을 상당 부분 반영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조는 여전히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특히 ‘35만 대 생산 목표 달성 시까지 파업을 유보한다’는 조항을 수용하지 않는 것은, 노사상생발전협정서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GGM 설립의 근간을 부정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와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완성차 수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GGM은 캐스퍼 전기차의 유럽·일본 수출을 통해 글로벌 시장 안착을 모색하고 있다”며 “노조는 GGM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중재안을 수용하고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위원회는 GGM 설립의 근간이 되는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준수를 전제로, 노조에는 ▲누적 생산 35만 대 달성 시까지 파업 유보 ▲생산 물량 확대 협력 ▲2교대 근무 수용 등을 권고했고, 경영진에게는 ▲노조 사무실 제공 ▲조합비 일괄 공제 ▲근로복지기금 출연 확대 등을 요구했다.

광주시는 해당 중재안을 수용했으며, GGM 경영진 역시 일부 내용이 노사상생협정서 취지와 다소 상충될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를 존중해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노조 측은 ‘35만 대 달성 전까지 파업을 유보하라’는 조항에 반발하며 중재안 수용을 보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