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산불 대피 매뉴얼 마련…재난 취약계층 신속 대피 지원
2025년 04월 02일(수) 19:55 가가
노인요양시설 등 394곳 지정
도, 5월15일까지 탐방로 통제
도, 5월15일까지 탐방로 통제
전남도가 산불 발생과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자 선제적인 산불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전남도는 2일 “산불 발생 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 입소자 등 재난 취약계층 산불 대피 매뉴얼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대상지는 사회복지시설 605곳 중 산림인접 지역 500m 이내 위치한 시설 394곳이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요양시설 277곳, 장애인 거주시설 58곳, 노숙인 시설 7곳, 정신재활시설 6곳, 종합병원 7곳, 일반병원 15곳, 요양병원 24곳 등이다.
대피는 ‘산불 확산 예측도’를 토대로 현장 지휘권자의 판단하에 사전에 지정된 임시 대피시설로 즉시 이동하도록 했다.
산불 확산 단계별로 현장 지휘관도 달라진다. 1단계(피해면적 10~50㏊)와 2단계(50~100㏊)는 시장·군수, 3단계(100㏊ 이상·24시간 연속)는 도지사 및 산림청장이다.
중증 환자는 목포 한국병원과 순천 성가롤로병원 등으로 이송되며, 경증 환자는 99개 인근 지정병원으로 이송된다.
입소자들은 종사자 등과 지정된 대피시설로 이동하고, 인력이 부족할 경우 공무원과 생활지원사, 의용소방대 등이 대피를 돕는다.
전남도는 또 오는 5월15일까지 ‘산불 조심’기간을 운영하고 도립공원 탐방로를 통제하기로 했다.
도내 자연공원 중 산악형 국립공원(지리산·내장산·월출산·무등산) 4곳과 도립공원(조계산·천관산·두륜산·불갑산) 곳이 통제된다. 다만 천관산도립공원을 제외한 3곳의 탐방로는 일부만 통제된다. 해당 구간은 각 공원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전남도는 도립공원외에도 도내 모든 산을 대상으로 산불 위험 해소 시까지 입산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 구간을 30%까지 확대 설정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산불은 한순간의 부주의로 대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재난”이라며 “철저한 준비와 대응으로 도민, 특히 재난 취약계층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전남도는 2일 “산불 발생 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 입소자 등 재난 취약계층 산불 대피 매뉴얼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요양시설 277곳, 장애인 거주시설 58곳, 노숙인 시설 7곳, 정신재활시설 6곳, 종합병원 7곳, 일반병원 15곳, 요양병원 24곳 등이다.
대피는 ‘산불 확산 예측도’를 토대로 현장 지휘권자의 판단하에 사전에 지정된 임시 대피시설로 즉시 이동하도록 했다.
산불 확산 단계별로 현장 지휘관도 달라진다. 1단계(피해면적 10~50㏊)와 2단계(50~100㏊)는 시장·군수, 3단계(100㏊ 이상·24시간 연속)는 도지사 및 산림청장이다.
입소자들은 종사자 등과 지정된 대피시설로 이동하고, 인력이 부족할 경우 공무원과 생활지원사, 의용소방대 등이 대피를 돕는다.
도내 자연공원 중 산악형 국립공원(지리산·내장산·월출산·무등산) 4곳과 도립공원(조계산·천관산·두륜산·불갑산) 곳이 통제된다. 다만 천관산도립공원을 제외한 3곳의 탐방로는 일부만 통제된다. 해당 구간은 각 공원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전남도는 도립공원외에도 도내 모든 산을 대상으로 산불 위험 해소 시까지 입산통제구역 및 등산로 폐쇄 구간을 30%까지 확대 설정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산불은 한순간의 부주의로 대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재난”이라며 “철저한 준비와 대응으로 도민, 특히 재난 취약계층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