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호 침몰 실종자 수색 잠수사 투입 난항
2025년 02월 12일(수) 21:10
선사 비용 없어 선체 인양 등 불가능
실종자 가족 구조 상황 공유 등 촉구

9일 새벽 3시 40분께 여수시 삼산면 하백도 해상에서 침몰한 대형트롤선박 승선원들이 구명뗏목을 타고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여수해경 제공>

여수 앞바다에서 침몰해 10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한 ‘제22서경호’ 사고원인 규명의 키포인트가 될 선박 인양과 심해 잠수사 투입 등이 비용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12일 여수해경 등에 따르면 사고선박 인양과 잠수사 투입에 대해 서경호 선사 측은 선박 보험만으로는 인양과 잠수사 투입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해저 80m에 있는 서경호 인양에만 수백억원이 소요될 것이라는 게 해경 측의 설명이다. 하지만 서경호 선박 보험 보상금은 19억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선사가 인양을 원치 않는다고 해도 강제로 인양을 할 수 있지만, 구상권을 청구해도 변제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오롯이 정부가 비용을 부담하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결국 정부에서 나서지 않는 이상 인양과 잠수사 투입 등은 어려운 것으로 전해지면서 실종자 수색과 사고 원인 규명은 난항을 겪고 있다.

이날 서경호 실종자 가족들은 입장문을 내고 “심해 잠수사 투입 여부를 결정해주고, 수상 수색에 대한 실시간 정보 공유, 정확한 진상 규명을 위한 적기 인양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침실, 기관실, 조타실 등 선내 실종자 발견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심해 잠수사 투입 여부를 이날까지 결정해주고 수상 수색과 관련해 주·야간 횟수를 지켜 특이사항 등을 충실하게 공유해달라는 것이다. 사고 진상 규명을 위해 언제든 인양될 수 있도록 논의해달라는 점도 강조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잠수부 투입, 인양에 대한 질문에 해경측은 “선사와 협의 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아무래도 비용 때문인 것 같다”며 “실종자를 어떤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하더라도 가족의 품에 돌아오게 해달라”고 말했다.

/김다인 기자 kdi@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