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기회발전·도심융합·교육발전특구’ 3관왕 차지
2024년 11월 10일(일) 17:30 가가
문화중심도시까지 포함하면 정부 4대 특구 사업 사실상 석권
AI·모빌리티 미래산업 선도,우수기업 유치·인재양성·정주여건 마련 박차
AI·모빌리티 미래산업 선도,우수기업 유치·인재양성·정주여건 마련 박차
광주시가 올해 정부의 교육발전특구·기회발전특구·도심융합특구 등에 잇따라 선정되면서 미래 산업 선도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까지 포함하면,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지방시대 종합 계획’으로 내놓은 4대 정책을 모두 석권한 셈이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월28일 교육발전특구 시범 지역 지정에 이어 지난 6일 기회발전특구, 같은 달 7일 도심융합특구에 신규 지정됐다.
광주시는 특구 지정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필수적인 우수 기업이 들어오고, 주거·의료·문화·여가 등 인프라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역 살리기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4대 특구’에 모두 지정된 셈이어서 기업 유치부터 인재 양성 등에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선거 공약 중 하나인 기회발전특구에는 광주시 광산구 빛그린국가산단과 북구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가 지정됐다. 광주시는 빛그린국가산단을 ‘모빌리티특구’, 첨단3지구를 ‘인공지능특구’로 각각 육성할 계획이다.
기회발전특구로 이전하는 기업은 소득세·법인세가 5년 동안 100% 감면되고 이후 2년 동안 50% 감면되는 등 파격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전 기업이 특구에서 신규로 취득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취득세가 전액 감면되고, 재산세는 5년 동안 면제되며 이후 5년 동안 50% 감면된다. 지방 주도의 특구 개발을 통해 개인사업자와 기업의 지역 이전을 촉진하고, 민간자본을 활용한 지역 균형 발전이 기대된다.
도심융합특구에는 서구 상무지구 일대가 지정됐다. 광주시는 도심 인프라를 활용해 복합개발을 유도, 상무지구를 첨단·벤처 일자리와 삶, 여가가 집약된 젊고 매력적인 혁신플랫폼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도심융합특구에서는 국·공유지 사용료와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이 감면된다. 또 정부는 지방자치단체가 요청할 경우 연구개발특구, 규제자유특구 등으로 우선 지정을 검토할 수 있다. 일자리(산업)·삶(주거)·여가(상업·문화) 등을 모은 ‘지역형 판교 테크노밸리’인 셈이다.
교육발전특구는 광주시가 추진 중인 인재 양성 사다리 완성을 위한 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지자체, 교육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과 협력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정주를 위한 종합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2026년까지 3년간 광주시, 교육청 등에서 7531억원을 투입, 시범 사업을 통해 광주형 AI 인재 성장 사다리 연계,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취임 직후부터 “기업들이 ‘광주에 인재가 없어 지역으로 갈 수 없다’고 말한다. 다시는 이런 말이 나오지 않도록 인재 양성 사다리를 확실히 완성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특구 지정이 인재 유입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 시장은 “3개의 특구를 기반으로 기업 유치, 인재 양성, 정주 여건 마련 등에 온 힘을 쏟겠다”며 “이는 광주의 새로운 도약 발판이 되고 시민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사업까지 포함하면,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지방시대 종합 계획’으로 내놓은 4대 정책을 모두 석권한 셈이다.
광주시는 특구 지정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필수적인 우수 기업이 들어오고, 주거·의료·문화·여가 등 인프라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방시대위원회가 지역 살리기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4대 특구’에 모두 지정된 셈이어서 기업 유치부터 인재 양성 등에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도심융합특구에는 서구 상무지구 일대가 지정됐다. 광주시는 도심 인프라를 활용해 복합개발을 유도, 상무지구를 첨단·벤처 일자리와 삶, 여가가 집약된 젊고 매력적인 혁신플랫폼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도심융합특구에서는 국·공유지 사용료와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이 감면된다. 또 정부는 지방자치단체가 요청할 경우 연구개발특구, 규제자유특구 등으로 우선 지정을 검토할 수 있다. 일자리(산업)·삶(주거)·여가(상업·문화) 등을 모은 ‘지역형 판교 테크노밸리’인 셈이다.
교육발전특구는 광주시가 추진 중인 인재 양성 사다리 완성을 위한 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는 지자체, 교육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과 협력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정주를 위한 종합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2026년까지 3년간 광주시, 교육청 등에서 7531억원을 투입, 시범 사업을 통해 광주형 AI 인재 성장 사다리 연계,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인재 양성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이 취임 직후부터 “기업들이 ‘광주에 인재가 없어 지역으로 갈 수 없다’고 말한다. 다시는 이런 말이 나오지 않도록 인재 양성 사다리를 확실히 완성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특구 지정이 인재 유입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 시장은 “3개의 특구를 기반으로 기업 유치, 인재 양성, 정주 여건 마련 등에 온 힘을 쏟겠다”며 “이는 광주의 새로운 도약 발판이 되고 시민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