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교통약자 30% 육박…“저상버스·특별 교통수단 확대해야”
2024년 10월 24일(목) 20:10
시의회 토론회…장애인·고령자 등 증가에도 저상버스 도입률 45% 불과

24일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실에서 열린 ‘모두를 위한 교통,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톺아보기’ 포럼 참석자들이 포럼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제공>

광주지역 교통약자의 이동권이 여전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2026년이면 교통약자 비율이 광주 인구 대비 3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이동권 증진을 위한 법 개정과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황현철 전남대 겸임교수는 24일 “장애인에게는 10년이 지나도 강산은 변하지 않았다”며 “저상버스와 특별 교통수단 도입을 확대하고 물리적 장애물 없는 환경을 조성해 모든 시민이 차별 없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겸임교수는 이날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실에서 열린 ‘모두를 위한 교통,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톺아보기’ 포럼에 발제자로 참석해 이같이 주장했다.

KOSIS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광주시 교통약자(장애인·고령자·임산부·어린이·영유아 동반자)는 인구 대비 28.89%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년 뒤인 2026년에는 광주시 인구 대비 교통약자 비율이 29.94%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광주에서 휠체어 등을 타고 탑승할 수 있는 저상버스는 450대로, 전체 시내버스 대비 도입률이 45%에 머무르고 있다.

황 교수는 “이동이 불편한 이들을 위한 법 개정과 정책 개선 등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우선적으로 대중교통 시설 내 편의시설 설치, 저상버스 도입, 보행 환경 개선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중규 중증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날 “장애시민모니터링단 활동을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운행중인 저상버스도 열악한 인도 여건 등으로 승강장 접근성이 떨어져 사용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저상버스 추가 도입도 중요하지만, 보행 환경 개선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저상버스 운전기사에 대한 의무 교육 지원 의견 등도 나왔다.

전경복 광주교통문화연수원 교육과장은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인 저상버스 운전기사 의무 교육이 교육 방식과 예산 편성 측면에서 미흡하다”면서 “서울시와 같이 실무적인 교육 도입과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날 포럼은 이명노(민주·서구3) 광주시의원이 좌장으로 참석하고 황 겸임교수가 발제했으며, 김광훈 광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시민참여재생에너지전환 위원장, 박중규 광주중증장애인위원회 부위원장, 전경복 광주교통문화연수원 교육과장, 도연 광주인권지기 활짝 활동가, 김선희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