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현장] 서왕진 “정부 계통관리 정책으로 호남 재생에너지 위기”
2024년 10월 09일(수) 20:05
정부의 ‘계통관리변전소 지정 정책’이 호남 재생에너지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 나왔다.

9일 조국혁신당 서왕진(광주시당위원장) 의원실에 따르면 서 의원은 지난 7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정부 대책으로 신규 발전허가가 중단되면서, 재생에너지가 활발한 호남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며 “투자를 계획했던 기업이 투자 철회를 요구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전을 준비하는 등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서 의원은 “호남지역은 에너지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있는데, 이번 대책이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어렵게 찾아낸 지역의 새로운 발전 기회를 정부가 사다리 걷어차기 식으로 막고 있는 것은 지역 홀대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문제 해결을 위한 4가지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먼저 전남과 달리 광주는 계통 연결 여유 용량이 충분한 만큼 지역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고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ESS(에너지저장장치)가 필수적이라고 밝혔으며, 특히 광주·전남에 우선적으로 ESS 설치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또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과 관련해, 계통관리변전소 지정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 의원은 “호남에 반도체 특화단지와 데이터센터를 적극 배치하면 계통 관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서 “이를 위해 산업부는 국가첨단전략산업법 개정을 포함한 전략적 구상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제안 내용을 검토한 뒤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협의하겠다”면서 “호남 지역은 2031년 12월 이후, 동해안 지역은 2026년 6월 이후에 접속하는 조건으로 발전허가를 부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