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자동차부품 재제조 기반 구축
2024년 09월 03일(화) 20:15 가가
사업비 450억원 투자…송암·에너지밸리 산단에 특화·R&D단지 조성
미국·유럽 등 자연순환 위해 재제조 의무화…국내 시장 규모 1조원대
미국·유럽 등 자연순환 위해 재제조 의무화…국내 시장 규모 1조원대
광주시가 송암산단과 에너지밸리산단을 중심으로 국내 대표 자동차부품 재제조 기반 구축에 나선다.
광주에 자동차 재제조가 도입되면 송암산단 모빌리티 도시재생사업과 100만평 미래차국가산단, 220만평 미래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와 연계한 동반상승(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시는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 정진욱 의원실과 광주그린카진흥원 공동 주최로 ‘자동차부품 재제조 순환경제허브 기술포럼’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광주 자동차부품 순환경제허브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광주 자동차부품 순환경제허브’는 송암산단의 자동차정비업체와 모빌리티 도시재생사업을 연계해 ‘자동차부품 재제조 특화단지’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에너지밸리산단에는 재제조 성능평가 및 인증 장비를 구축해 기업 지원을 하고, 재제조 기법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한다.
시는 정부지원 선도사업으로 송암산단에 재제조 1단계를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2단계에서는 완성차 참여를 유도해 자동차부품 재제조 사업의 모델화를 계획하고 있다.
광주시는 45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아 송암산단에 수거·분해·분류·선별할 수 있는 플랫폼, 부품재제조 생산업체, 온·오프라인 판매 플랫폼 등 재제조부품 생산단지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재제조플랫폼을 통해 스타트업 35개 창업 등이 기대되며, 미래차 전환에 따라 내연기관 경정비(카센터) 1000곳 가운데 50%인 500곳을 단계적으로 업종 전환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판매플랫폼을 통한 직거래 방식으로 판매가격을 신품 대비 50% 수준으로 낮춰 소비자의 구매 부담도 덜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가격경쟁력에 따른 구매가 늘면 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이와 함께 에너지밸리산단에는 성능평가 연구개발(R&D)단지를 구축하고, 자동차부품 재제조 성능평가 지원과 제재조 기법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광주시는 완성차 업체로 참여가 확대되면 자원소비 90% 감소, 고용 2.7배 증가, 경제효과가 높은 ‘자동차 생애주기 완성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기후위기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수립의 필요성에 따라 자동차산업에서 ‘광주 자동차부품 순환경제 허브’를 도입하는 등 탄소중립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광주시는 순환경제 허브 도입과 관련해 이탈리아 토리노에 있는 스텔란티스 자동차 재제조 시설을 주목하고 있다. 스텔란티스가 전기차 및 재제조를 통해 ‘2038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텔란티스는 2038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800만개 엔진, 기어박스 등의 재제조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3조원의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유럽 등 주요국들은 탄소배출에 따른 환경문제와 자원고갈에 따른 자원순환을 위해 재제조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친환경산업법’ 등 재제조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상태다.
강홍윤 인하대학교 교수는 이날 포럼에서 ‘재제조산업 동향 및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재제조 시장 규모는 1조원대, 업체 수 1450여개로, 자동차 부품이 80%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재제조 산업이 활발한 미국 등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도 앞으로 4배 이상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에 자동차 재제조가 도입되면 송암산단 모빌리티 도시재생사업과 100만평 미래차국가산단, 220만평 미래차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와 연계한 동반상승(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광주 자동차부품 순환경제허브’는 송암산단의 자동차정비업체와 모빌리티 도시재생사업을 연계해 ‘자동차부품 재제조 특화단지’를 조성하는 게 핵심이다. 에너지밸리산단에는 재제조 성능평가 및 인증 장비를 구축해 기업 지원을 하고, 재제조 기법에 대한 연구개발(R&D)을 진행한다.
재제조플랫폼을 통해 스타트업 35개 창업 등이 기대되며, 미래차 전환에 따라 내연기관 경정비(카센터) 1000곳 가운데 50%인 500곳을 단계적으로 업종 전환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판매플랫폼을 통한 직거래 방식으로 판매가격을 신품 대비 50% 수준으로 낮춰 소비자의 구매 부담도 덜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가격경쟁력에 따른 구매가 늘면 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이와 함께 에너지밸리산단에는 성능평가 연구개발(R&D)단지를 구축하고, 자동차부품 재제조 성능평가 지원과 제재조 기법 연구개발(R&D) 지원에 나선다.
광주시는 완성차 업체로 참여가 확대되면 자원소비 90% 감소, 고용 2.7배 증가, 경제효과가 높은 ‘자동차 생애주기 완성도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광주시는 또 기후위기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수립의 필요성에 따라 자동차산업에서 ‘광주 자동차부품 순환경제 허브’를 도입하는 등 탄소중립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광주시는 순환경제 허브 도입과 관련해 이탈리아 토리노에 있는 스텔란티스 자동차 재제조 시설을 주목하고 있다. 스텔란티스가 전기차 및 재제조를 통해 ‘2038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스텔란티스는 2038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800만개 엔진, 기어박스 등의 재제조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3조원의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미국·유럽 등 주요국들은 탄소배출에 따른 환경문제와 자원고갈에 따른 자원순환을 위해 재제조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친환경산업법’ 등 재제조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상태다.
강홍윤 인하대학교 교수는 이날 포럼에서 ‘재제조산업 동향 및 우리의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재제조 시장 규모는 1조원대, 업체 수 1450여개로, 자동차 부품이 80%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재제조 산업이 활발한 미국 등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도 앞으로 4배 이상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