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 내몰린 중소기업·협동조합 지원 예산 늘려달라”
2024년 08월 21일(수) 19:50 가가
중소기업중앙회, 강기정 광주시장과의 정책간담회
공동사업 확대·스마트 공장 구축 등 12개 건의 호소
공동사업 확대·스마트 공장 구축 등 12개 건의 호소
“광주시의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지원 예산이 2년전보다 25% 감소했습니다. 광주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정부가 올해 기초 수준의 스마트공장 지원 예산을 모두 삭감했는데, 광주시가 별도로 1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줬습니다. 호응이 좋은 만큼 지원을 더 확대해주세요.”
“지역 내에서 지역 중소기업 생산 제품을 우선구매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주셨으면 합니다. 지역경쟁입찰이 가능하다면 이 부분도 적극 활용해주세요.”
2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주관하는 강기정 광주시장과의 정책간담회에서는 지역 중소기업 대표의 요청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갈수록 중소기업, 협동조합 등의 여건이 악화하고 있어 광주시를 비롯한 공공기관들의 협력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입을 모았다. 이들은 공동사업 관련 지원 확대,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장 주변 교통난 해소를 위한 도로 개설 등 12개의 건의 사항을 광주시에 호소했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치솟는 대출 금리, 판로 부족, ‘알테쉬’로 대표되는 중국 유통기업의 공격적인 국내 마케팅, 제조업 인력 부족 등으로 힘겨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임경준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 회장, 11개 협동조합 이사장과 양동구 광주지방국세청장, 조종래 광주·전남중소벤처기업청장 등이 참석했다.
임경준 광주·전남 회장은 전체 중소기업을 대표해 “광주시가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 조례’를 통해 중소기업 공동사업에 대해 지원하고 있지만, 사업에 대한 제한이 많고 예산도 적어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올해 광주시의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지원 예산은 2년 전보다 25% 감소했다. 임 회장은 타 지자체의 경우 일자리, 공동시설 지원 등 다양한 공동사업을 실시하고 예산 규모도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 광주시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노종호 광주·전남·제주 플라스틱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지난 2018년부터 대기업의 제조혁신 노하우를 중소기업 현장에 전수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가 올해 ‘기초’(생산정보 디지털화) 수준 스마트공장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며 “다만 광주시는 ‘기초’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별도 예산(10억원)을 편성한 만큼 앞으로 더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국선 광주자동차부품판매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서구 매월동 종합유통단지 내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북단 주변도로(중로1-218호선) 개설을 제안했다. 류승원 광주·전남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광주시가 구매하는 콘크리트 블럭 제품 가운데 50%가 타 지역 제품”이라며 “지역 중소기업 생산제품을 우선 구매해주고, 지역으로 제한해 경쟁입찰이 가능한 경우를 적극 활용해 달라”고 말했다. 박영회 광주전남제주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법제화된 ‘납품대금 연동제’가 광주시 산하기관에서라도 적용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요구했다.
이밖에도 잔골재 수급 대책 마련, 도시철도 2호선 물품 구매시 협동조합 추천제도 활용, 장수기업 기업승계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등 모두 12개의 건의사항이 전달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에 대해 “광주시의 재정 여건이 좋지 않았지만 꼭 필요한 것은 놓치지 않고 지원 방안을 고민해보겠다”며 “광주의 산업을 키우는 입장에서 건의된 내용들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김기문 중앙회장은 “광주시에는 28개 협동조합과 20만개에 가까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있고, 50만명이 넘는 근로자들이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다”며 “오늘 건의안들은 시장께서 들어보시고 시정에 반영할 수 있는 내용들은 최대한 정책에 반영해 주시기를 당부한다”고 호소했다.
/글·사진=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정부가 올해 기초 수준의 스마트공장 지원 예산을 모두 삭감했는데, 광주시가 별도로 1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줬습니다. 호응이 좋은 만큼 지원을 더 확대해주세요.”
21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주관하는 강기정 광주시장과의 정책간담회에서는 지역 중소기업 대표의 요청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갈수록 중소기업, 협동조합 등의 여건이 악화하고 있어 광주시를 비롯한 공공기관들의 협력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입을 모았다. 이들은 공동사업 관련 지원 확대,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장 주변 교통난 해소를 위한 도로 개설 등 12개의 건의 사항을 광주시에 호소했다.
실제로 올해 광주시의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지원 예산은 2년 전보다 25% 감소했다. 임 회장은 타 지자체의 경우 일자리, 공동시설 지원 등 다양한 공동사업을 실시하고 예산 규모도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 광주시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노종호 광주·전남·제주 플라스틱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지난 2018년부터 대기업의 제조혁신 노하우를 중소기업 현장에 전수하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가 올해 ‘기초’(생산정보 디지털화) 수준 스마트공장 지원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며 “다만 광주시는 ‘기초’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별도 예산(10억원)을 편성한 만큼 앞으로 더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국선 광주자동차부품판매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서구 매월동 종합유통단지 내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북단 주변도로(중로1-218호선) 개설을 제안했다. 류승원 광주·전남콘크리트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광주시가 구매하는 콘크리트 블럭 제품 가운데 50%가 타 지역 제품”이라며 “지역 중소기업 생산제품을 우선 구매해주고, 지역으로 제한해 경쟁입찰이 가능한 경우를 적극 활용해 달라”고 말했다. 박영회 광주전남제주기계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법제화된 ‘납품대금 연동제’가 광주시 산하기관에서라도 적용될 수 있도록 힘써달라”고 요구했다.
이밖에도 잔골재 수급 대책 마련, 도시철도 2호선 물품 구매시 협동조합 추천제도 활용, 장수기업 기업승계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등 모두 12개의 건의사항이 전달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에 대해 “광주시의 재정 여건이 좋지 않았지만 꼭 필요한 것은 놓치지 않고 지원 방안을 고민해보겠다”며 “광주의 산업을 키우는 입장에서 건의된 내용들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김기문 중앙회장은 “광주시에는 28개 협동조합과 20만개에 가까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있고, 50만명이 넘는 근로자들이 중소기업에서 일하고 있다”며 “오늘 건의안들은 시장께서 들어보시고 시정에 반영할 수 있는 내용들은 최대한 정책에 반영해 주시기를 당부한다”고 호소했다.
/글·사진=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