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가 ‘판소리 눈대목’, ‘이태백류 아쟁산조’의 멋
2024년 05월 29일(수) 16:35 가가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6월 1일
무등산 산자락에 울려 퍼지는 춘향가 눈대목과 아쟁 산조의 선율.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이 여덟 번째 토요상설공연 무대로 판소리·산조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는 6월 1일 오후 3시 전통문화관 일원에서 펼쳐지는 ‘판소리 춘향가와 이태백류 아쟁산조’가 그것. 청년 국악인 주현주(판소리), 박정진(아쟁)이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주현주 소리꾼은 판소리 ‘춘향가’ 중 ‘들었던 촛불을 대목’부터 결말 부분에 해당하는 ‘어사출도 대목’을 부른다. 남원정보국악고(현 남원국악예술고)를 졸업한 주 씨는 전남대 국악과 및 동 대학원을 수료했다.
이어 ‘이태백류 아쟁산조’가 울려 퍼진다. 박종선, 김일구의 영향을 받아 이태백의 창작 가락을 접목해 만든 산조로 우조, 계면조 등 아쟁산조에 잘 쓰이지 않던 평조, 경드름, 봉황조, 완자걸이 등도 활용되는 작품이다.
전남대 국악학과 및 동대학원을 수료한 박정진은 전남도 무형문화재 제18호 진도북놀이 보유자 박관용 선생의 손자로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한국 국악연구소장으로 활동 중이다.
6월 8일에는 국악창작 무대로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리치다’가 ‘감성콘서트-우공이산’라는 주제로 찾아올 예정이다.
전통문화관 선미영 팀장은 “무등산의 녹음이 우거진 시원한 전통문화관에서 우리 옛 소리를 전하는 예인들을 만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판소리 눈대목과 아쟁 산조를 감상하며 몸과 마음을 힐링하고 가셔도 좋을 것 같다”고 했다.
무료 공연.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이 여덟 번째 토요상설공연 무대로 판소리·산조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는 6월 1일 오후 3시 전통문화관 일원에서 펼쳐지는 ‘판소리 춘향가와 이태백류 아쟁산조’가 그것. 청년 국악인 주현주(판소리), 박정진(아쟁)이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이어 ‘이태백류 아쟁산조’가 울려 퍼진다. 박종선, 김일구의 영향을 받아 이태백의 창작 가락을 접목해 만든 산조로 우조, 계면조 등 아쟁산조에 잘 쓰이지 않던 평조, 경드름, 봉황조, 완자걸이 등도 활용되는 작품이다.
전통문화관 선미영 팀장은 “무등산의 녹음이 우거진 시원한 전통문화관에서 우리 옛 소리를 전하는 예인들을 만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판소리 눈대목과 아쟁 산조를 감상하며 몸과 마음을 힐링하고 가셔도 좋을 것 같다”고 했다.
무료 공연.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