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선후 비대위원장 취임…원내대표 선출 등 조직 정비 가속화
2024년 05월 04일(토) 12:36 가가
국힘 황우여 비대위원장 “재창당 수준 넘어선 혁신 추진”
민주 박찬대 원내대표 “법사·운영위 확보할 것”
민주 박찬대 원내대표 “법사·운영위 확보할 것”
여·야가 4·10총선후 조직 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 황우여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은 3일 “재창당 수준을 넘어선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황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연 취임 기자회견에서 “당원과 국민의 목소리만이 제가 이끄는 비대위의 나침반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비대위는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까지 당을 운영하는 ‘실무형 비대위’로 평가되지만, 그 역할을 ‘전대 관리’에만 국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황 위원장은 “국민이 됐다 할 때까지 쇄신하겠다”며 “더 많은 국민과 함께할 수 있는 포용의 정당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관리·혁신을 구별하지 않고 당헌·당규에 따라 주어지는 당무를 수행할 것”이라며 “전당대회 준비에 만전을 기함은 물론, 민생·당 혁신도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요구하는 민생 정책은 보다 과감히 추진하겠다. 국민의 삶 속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다가가 함께하는 정당이 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보수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야당과 협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당과 정부, 대통령실과 관계 설정에 대해선 “당·정·대 관계를 조화롭게 하겠다”고 말했다.
15∼19대 국회의원을 지낸 황 지명자는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역임한 당의 원로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새 원내대표에 친명(친이재명)계인 박찬대(인천 연수갑) 의원이 3일 선출됐다.
4·10 총선 승리로 3선 고지에 오른 박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 총회에서 민주당의 새 원내 사령탑으로 뽑혔다.
경선은 박 신임 원내대표가 단독 입후보해 무기명 찬반 투표만 했다.
투표는 171명 당선인 중 170명이 참석해 진행됐다. 민주당은 찬성표가 과반인 사실만 공개했고, 구체적 득표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선출 직후 임기를 시작한 박 신임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주도하는 주요 법안의 관철 등을 위한 강경 노선을 예고했다.
그는 정견 발표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법안(의 입법)을 (22대 국회) 개원 즉시 재추진하겠다”며 “민생회복지원금 추경(추가경정예산) 확보를 위한 협상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
국민의힘 황우여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은 3일 “재창당 수준을 넘어선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황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연 취임 기자회견에서 “당원과 국민의 목소리만이 제가 이끄는 비대위의 나침반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비대위는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까지 당을 운영하는 ‘실무형 비대위’로 평가되지만, 그 역할을 ‘전대 관리’에만 국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그는 “우리는 관리·혁신을 구별하지 않고 당헌·당규에 따라 주어지는 당무를 수행할 것”이라며 “전당대회 준비에 만전을 기함은 물론, 민생·당 혁신도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과 정부, 대통령실과 관계 설정에 대해선 “당·정·대 관계를 조화롭게 하겠다”고 말했다.
15∼19대 국회의원을 지낸 황 지명자는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역임한 당의 원로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새 원내대표에 친명(친이재명)계인 박찬대(인천 연수갑) 의원이 3일 선출됐다.
4·10 총선 승리로 3선 고지에 오른 박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 총회에서 민주당의 새 원내 사령탑으로 뽑혔다.
경선은 박 신임 원내대표가 단독 입후보해 무기명 찬반 투표만 했다.
투표는 171명 당선인 중 170명이 참석해 진행됐다. 민주당은 찬성표가 과반인 사실만 공개했고, 구체적 득표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선출 직후 임기를 시작한 박 신임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주도하는 주요 법안의 관철 등을 위한 강경 노선을 예고했다.
그는 정견 발표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법안(의 입법)을 (22대 국회) 개원 즉시 재추진하겠다”며 “민생회복지원금 추경(추가경정예산) 확보를 위한 협상도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