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공원 24곳 새롭게 태어난다
2024년 04월 30일(화) 21:10 가가
광주시, 공원조성사업 현장 설명회…공공기여 2조895억 확정
광주 도심에 공원 24곳이 새롭게 태어난다. 시민 1인당 공원면적도 2배로 늘어난다. 2017년부터 시작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조성 사업 성과로, 도시공원 일몰제로 자칫 사라질 뻔한 숲과 공원을 최대한 지켜낸 결과물이라는 평가다.
광주시는 30일 염주체육관 내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에서 ‘새롭게 태어난 24개 공원’을 주제로 현장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선 광주시가 추진하는 도시공원 조성사업의 두 가지 방향이 강조됐다. 광주시 예산을 투입해 조성하는 재정공원(15곳)과 민간자본을 활용해 조성하는 민간공원(9곳) 특례사업이다.
광주시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자체예산 5000억원을 투입해 사유지를 매입하고 공원을 조성했으며, 부족한 재원을 해결하기 위해 민간자본을 활용한 공원특례사업을 진행했다.
특히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타 시·도의 모범 행정으로 꼽힌다. 시민, 시의회, 공무원, 관련 전문가들이 민관협치(거버넌스)를 이뤄 시민참여와 공감행정을 보여줬고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의 공원면적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실제 전국 평균 공원면적 비율은 80.1%인데 비해 광주시는 90.4%의 공원면적을 확보했다.
전국 민간공원 특례사업 최초로 민간사업자의 수익 상한을 설정해 초과수익이 발생할 경우 공원사업에 재투자하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한 것도 큰 특징 중 하나다.
특혜 논란이 일었던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은 ‘신속·투명·공개’ 3대 원칙에 따라 개발행정의 전 과정을 공개해 시민과 공공의 이익을 높이고 사회갈등을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완료되면 10개 공원지구에서 광주시가 기부채납 받게 될 공공기여액은 토지·시설을 합산해 2조895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공원조성이 완료되는 2027년이면 광주시민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6.3㎡에서 12.3㎡로, 2배가량 대폭 늘어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아파트를 짓는 사업이 아니라 시민의 공원을, 숲을 지키는 사업”이라면서 “특히 중앙공원1지구는 행정에서 모든 정보를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업자 및 시민사회와 공개토론 등을 통해 논란을 해소하는 등 공개·투명·신속 3대 원칙에 따라 특혜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고 강조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자체예산 5000억원을 투입해 사유지를 매입하고 공원을 조성했으며, 부족한 재원을 해결하기 위해 민간자본을 활용한 공원특례사업을 진행했다.
특혜 논란이 일었던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은 ‘신속·투명·공개’ 3대 원칙에 따라 개발행정의 전 과정을 공개해 시민과 공공의 이익을 높이고 사회갈등을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완료되면 10개 공원지구에서 광주시가 기부채납 받게 될 공공기여액은 토지·시설을 합산해 2조895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공원조성이 완료되는 2027년이면 광주시민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6.3㎡에서 12.3㎡로, 2배가량 대폭 늘어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아파트를 짓는 사업이 아니라 시민의 공원을, 숲을 지키는 사업”이라면서 “특히 중앙공원1지구는 행정에서 모든 정보를 시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사업자 및 시민사회와 공개토론 등을 통해 논란을 해소하는 등 공개·투명·신속 3대 원칙에 따라 특혜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고 강조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