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국회 운영 협치 모색 … 민주, 특검법 등 강공 모드
2024년 04월 30일(화) 18:40
영수회담 여야 반응과 향후 전략
국힘 “야당 독주에서 벗어나야”
민주 “채상병 특검법 곧 처리”
여야는 지난 30일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전날 회담을 두고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국민의힘은 “이 회담을 계기로 거대 야당인 민주당이 지금까지의 일방적인 ‘독주’에서 벗어나 여야 ‘협치’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민주당은 영수회담에도 불구하고 대여 강공모드를 이어갔다.

국민의힘 윤재옥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견이 일소에 해소되지 않았지만,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직접 서로의 생각을 확인했다는 것만으로도 이번 회담은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진다”고 밝혔다.

또 ‘대통령이 민생 회복을 위한 의지가 없어 보인다’는 민주당의 혹평에 대해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고 한다”며 “모처럼 성사된 귀중하고 의미 있는 자리를 어느 한쪽의 정치적 목표가 달성되지 않았다고 해서 폄훼하고 평가 절하해서야 더 나은 다음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준영 사무총장 직무대행도 회의에서 “어제는 국정의 최고책임자가 야당의 말씀을 충분히 경청한 만큼 오늘부터는 국회의 절대 권력인 민주당이 국민의힘의 목소리를 귀 기울이고 소통하며 협치하기를 기대한다”며 “그것이 어제 회담이 수포가 되게 하지 않는 첫 시그널”이라고 강조했다.

윤희석 선임대변인은 논평을 내 “협치를 위해 대통령이 직접 손을 내밀었고, 민주당의 일방적 주장도 진지한 태도로 경청했다”며 “민주당이 진정 협치를 원한다면 국회부터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선임대변인은 민주당을 향해 “국회는 독단적으로 운영하면서도 이를 불가피하게 제지할 수밖에 없는 정부를 비난하는 것은 지극히 모순적인 태도”라고 지적했다.

반면, 민주당은 앞서 예고했던 해병대 채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 특검법, 이태원참사 특별법, 전세사기 특별법의 5월 임시국회 처리를 지체 없이 밀어붙이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5월 2일 본회의는 반드시 열어 해병대 장병 순직 사건 관련 특검법과 전세사기특별법을 반드시 처리하겠다”며 “이것을 처리하지 않으면 21대 국회는 국민들에게 면목이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앞으로 민주당은 대통령과 정부에게 강하게 요구하는 것에 그치지 않겠다”며 “민생 회복을 위해 구상하고 있는 입법·정책 계획을 예정대로 차근차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총선에서 확인된 ‘정권 심판론’이 이번 회담을 계기로 더 커졌다면서 대여 압박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강경론도 나온다.당 지도부는 윤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해 폐기된 9개 법안을 22대 국회 개원 즉시 조국혁신당과 손잡고 재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의혹 특검법도 즉시 재추진하는 방안에 힘이 실리고 있다.

차기 원내대표에 출마한 박찬대 의원은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최선을 다해 윤 대통령이 거부했던 9개 법안을 재상정할 것”이라며 “그 다음 김건희 특검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