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 구체적 성과물 없었지만 소통·협치 불씨 살렸다
2024년 04월 29일(월) 20:15
이재명 대표 작심 발언 쏟아내
윤 대통령 “좋은 말씀에 감사”
회담 결과보다 만남 자체에 의미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첫 영수회담에서는 구체적인 성과물이 도출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연금개혁과 의대 증원 문제 해결 등 일부 현안에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이날 회담 결과보다는 만남 자체에 의미를 뒀으며, 향후 소통하기로 하면서 ‘협치’의 불씨는 살렸다는 평가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과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담에서“대통령님한테 드릴 말씀을 써 왔습니다. 여기까지 오는 데 700일 넘게 걸렸습니다”며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윤 대통령과 이 대표가 인사말을 주고받은 후 취재진이 퇴장하려 하자 이 대표가 “퇴장할 것은 아니고”라며 정장 주머니에서 원고를 꺼내 본격적인 발언을 시작한 것이다.

이에 윤 대통령은 “손님 말씀 먼저 들어야죠. 말씀하시죠”라고 했다.

원고는 A4 용지 10장 분량이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발언은 15분 가량 이어졌다. 이 대표의 작심 발언은 대부분 윤 대통령을 향한 비판과 요구를 담았다.

공개 모두 발언 시간의 대부분을 이 대표가 사용했고, 윤 대통령은 묵묵히 경청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먼저 이 대표는 “제가 드리는 말씀이 거북하실 수 있는데 그것이 야당과 국민이 갖는 이 정부 2년에 대한 평가의 일면으로 생각해 달라”고 말을 이어갔다.

“우리 국민들이 혹시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잡혀가는 것 아닐까 걱정하는 세상이 됐다”, “독재화가 진행 중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총선에서 나타난 국민 뜻이 잘못된 국정을 바로잡으라는 준엄한 명령이다” 등 수위 높은 발언들도 나왔다.

이 대표는 현 정부 국정 운영을 두고 ‘시행령 통치’, ‘인사청문회 무력화’ 등이라는 평가가 있다고 전하며 “법치주의를 위협하는 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민주당이 제안한 ‘긴급 민생 회복 지원금’에 대해서도 “소득지원 효과에 더해 골목상권과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방에 대한 지원 효과가 매우 크므로 꼭 수용해 달라”고 요구했다.

윤 대통령은 내내 진지한 표정으로 이 대표의 발언을 들은 뒤에 “좋은 말씀 감사하다. 평소 이 대표님과 민주당에서 강조해 오던 얘기라서 이런 말씀을 하실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며 “자세한 말씀 감사하다”고 답했다.

앞서 이 대표는 이날 오후 2시께 검은 정장에 남색 넥타이 차림에, 태극기 배지를 착용하고 대통령실 집무실에 도착했다.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과 홍철호 정무수석이 이 대표와 수행원들을 맞이해 회담장으로 안내했다.

윤 대통령은 남색 정장에 붉은 계열 넥타이 차림으로 회담장 입구에서 이 대표를 기다리다가 맞이했다.

두 사람은 밝은 표정으로 인사말을 주고받으며 내내 악수한 손을 잡고 있었고, 윤 대통령은 인사의 의미로 이 대표의 어깨를 가볍게 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은 29일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첫 회담에 대해 “소통과 협치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만남의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정희용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이같이 말하며 “오늘을 시작으로 대통령과 야당은 물론 여당도 함께하며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만남을 계속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 수석대변인은 “2시간을 훌쩍 넘긴 시간 동안 민생경제와 의료 개혁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며 “국민의 대다수가 공감하고 있는 의료 개혁에 대해서는 민주당이 협력하겠다고 한 데 대해 정부·여당 또한 크게 환영하는 바”라고 말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듣고 또 들으며 이 대표가 전한 민심의 목소리를 경청했고, 그러면서 정책적 차이점에 대해서도 서로 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그동안 민주당에서 일방적으로 주장해 오던 내용을 이 대표가 15분 여에 달하는 모두발언으로 반복한 것과 민생 회복을 위한 의지가 없어 보였다는 민주당의 평가는 아쉽다”고 지적했다.

정 수석대변인은 “오늘의 회담은 아쉬움과 희망이 교차한 자리였지만, 민생과 국정의 주요 현안을 지혜롭게 풀어나가는 소통의 장이자, 대화 정치 복원과 협치의 첫발을 떼는 전환점이자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