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전남형 치매 돌봄 사업 국비 지원 건의
2024년 04월 24일(수) 18:10 가가
‘치매 환자도 안심하고 지낼 수 있는 생활 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전남도는 24일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등과 함께 보성군 치매안심센터 현장을 찾아 예방·치료·돌봄 등으로 이뤄지는 전남형 치매 관리종합대책을 점검했다.
전남 치매노인의 경우 65세 이상 전국 치매노인 인구 99만 8000명 대비 5만 6000명(5.6%)을 차지하고 치매노인 유병률은 12.2%로 전국 평균(10.5%)을 웃도는 등 지역의 선제적인 치매 예방·관리가 요구되는 지역이다.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3년 간 977억원을 투입해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치매 관리체계 확충을 위한 예방~치료~돌봄으로 이어지는 전남형 치매 돌봄 사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전남도는 우선, 예방 차원으로 치매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기 검진을 무료로 실시하고 치매검사비도 최대 15만원까지 지원한다. 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애초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까지 대상자를 확대하고 1인당 월 3만원의 치료비를 지원한다.
돌봄 기능 강화를 위해 치매안심병원(3곳)과 치매안심마을(125곳)을 확충하고 치매안심관리사 양성, 환자·가족 안심캠프, 이동편의 서비스를 전 시·군에 제공하고 있다.
전남도는 이같은 정책을 바탕으로 보건복지부에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국고 지원 확대 및 국립치매연구소 설립, 홀로 사는 저소득 어르신 등을 위한 스마트기술 활용 어르신 돌봄지원, 도내 화장시설 확충을 위한 장사시설 설치 사업비 지원 등을 요청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전남에서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치매관리 종합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전남도의 국비 지원 요청 건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전남도는 24일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관 등과 함께 보성군 치매안심센터 현장을 찾아 예방·치료·돌봄 등으로 이뤄지는 전남형 치매 관리종합대책을 점검했다.
지난해부터 2025년까지 3년 간 977억원을 투입해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치매 관리체계 확충을 위한 예방~치료~돌봄으로 이어지는 전남형 치매 돌봄 사업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전남도는 우선, 예방 차원으로 치매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기 검진을 무료로 실시하고 치매검사비도 최대 15만원까지 지원한다. 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애초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40%까지 대상자를 확대하고 1인당 월 3만원의 치료비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전남에서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치매관리 종합대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전남도의 국비 지원 요청 건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