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시내버스에 연 1400억 지원…관리는 부실
2024년 04월 15일(월) 20:10 가가
감사위, 경영평가 미실시 등 버스준공영제 감사 16건 적발
광주시가 시내버스에 연간 1400억원 규모의 세금을 지원하면서도, 비용 관리를 부실하게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시 감사위원회는 2020∼2022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업무를 특정 감사한 결과 16가지 사안을 적발하고 팀장급 공직자 5명을 훈계 조치했다고 15일 밝혔다. 감사위는 경영평가 미실시에 따른 미지급 성과 이윤 51억 3700만원을 지급하고, 정산 과정에서 누락한 기타 수입금 등 30억 9300만원을 회수하도록 요구했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광주시는 표준원가 산정 용역 결과를 소관 상임위인 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에 보고하지 않고 버스정책심의위원회도 거치지 않았다.
표준원가 산정 시 정비·관리직 인건비 등은 용역 결과 대비 높게, 임원 인건비 등은 낮게 산정해 3년간 용역 대비 55억원의 차액이 발생하기도 했다. 성과 이윤 배분을 위한 경영평가는 3년간 한 차례도 하지 않고 서비스 평가만 이행했다.
광주시는 표준운송원가가 확정되지 않아 정산 검사와 경영평가를 할 수 없었다고 해명했으나, 감사위는 밀린 평가를 조속히 시행하고 성과 이윤을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감사위는 또 버스업체가 5억원 상당의 유류 카드 포인트와 신차 구입 포인트 2억원, 코로나19 지원금 1억 6000만원 등 기타 수입금을 누락하고 표준운송원가 정산 보고를 했음에도 재정산 요구 등을 하지 않은 점도 지적했다.
광주지역 시내버스는 10개 업체 999대(101개 노선)가 운행 중이며, 2007년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한 이후 2019년 733억원, 2020년 1189억원, 2021년 1221억원, 2022년 1393억원, 2023년 1424억원(확정 전) 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시내버스 적자를 보전하고 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 감사위원회는 2020∼2022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업무를 특정 감사한 결과 16가지 사안을 적발하고 팀장급 공직자 5명을 훈계 조치했다고 15일 밝혔다. 감사위는 경영평가 미실시에 따른 미지급 성과 이윤 51억 3700만원을 지급하고, 정산 과정에서 누락한 기타 수입금 등 30억 9300만원을 회수하도록 요구했다.
표준원가 산정 시 정비·관리직 인건비 등은 용역 결과 대비 높게, 임원 인건비 등은 낮게 산정해 3년간 용역 대비 55억원의 차액이 발생하기도 했다. 성과 이윤 배분을 위한 경영평가는 3년간 한 차례도 하지 않고 서비스 평가만 이행했다.
광주지역 시내버스는 10개 업체 999대(101개 노선)가 운행 중이며, 2007년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한 이후 2019년 733억원, 2020년 1189억원, 2021년 1221억원, 2022년 1393억원, 2023년 1424억원(확정 전) 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시내버스 적자를 보전하고 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