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지지부진 ‘중앙공원 1지구’ 특례사업 속도낸다
2024년 03월 22일(금) 15:15 가가
선분양 전환 등 광주시 도시계획위 통과…공공기여는 추후 심의
사업자, 1000억 추가 공공기여 제시…일부 “분양가 낮추는 비용으로 쓰여야”
사업자, 1000억 추가 공공기여 제시…일부 “분양가 낮추는 비용으로 쓰여야”
광주 최대 규모 민간 공원 특례사업으로 진행 중인 광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규모 변경안이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지지부진했던 공원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2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간 공원(중앙공원 1지구) 개발행위 특례사업 안건을 심의하고 비공원 시설(아파트) 종류와 규모 변경을 수용하기로 의결했다.중앙공원 1지구 개발 사업은 광주 서구 금호동·화정동·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서 민간 공원 특례사업으로 추진된다.
민간 사업자는 비공원 시설 면적에 아파트를 짓고, 나머지 면적에 공원을 조성해 광주시에 기부채납하는 방식이다.
도시계획위는 분양 방식 변경 논의 과정에서 광주시가 사업자인 빛고을중앙공원개발에 요구한 공공 기여와 관련한 사항은 추후 심의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선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 1000억원을 공공 기여로 내놓겠다는 의사를 전한 사실도 공개됐다.
광주시와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은 공공 기여 등 관련 협의를 거쳐 새로운 협약을 체결하고, 도시계획위는 협약 내용을 심의하게 된다.
다만 일부에선 사업자측이 추가로 내놓기로 한 1000억원의 공공 기여금이 결국 시민이 납부하는 아파트 건축 비용으로 충당된다는 점을 들어 아파트 분양가를 낮추는 데 쓰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일부 위원들은 분양가의 기준이 되는 건설 원가 산정의 신뢰성 부족, 사업 지연에 따른 비용 상승, 공원 수준 저하 우려 등 을 제시하고, 대책 마련을 주문하기도 했다.
광주 시민단체협의회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시, 사업자, 전문가, 시의회,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 거버넌스를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오는 2027년 준공 목표인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 5027㎡ 부지 내에 공원시설과 비공원 시설을 건축하는 광주 최대 도심 공원 조성 프로젝트다. 뛰어난 풍경을 품고 있는 풍암호수를 중심으로 어울림 숲과 청년의 숲, 치유의 숲, 우듬지 숲, 예향의 숲, 가족의 숲, 활력의 숲, 기록의 숲 등 8개 테마별 도심 숲 공원을 조성한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 동 총 2772가구 규모의 명품 아파트 브랜드 ‘롯데캐슬 시그니처’ 가 들어선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21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간 공원(중앙공원 1지구) 개발행위 특례사업 안건을 심의하고 비공원 시설(아파트) 종류와 규모 변경을 수용하기로 의결했다.중앙공원 1지구 개발 사업은 광주 서구 금호동·화정동·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서 민간 공원 특례사업으로 추진된다.
도시계획위는 분양 방식 변경 논의 과정에서 광주시가 사업자인 빛고을중앙공원개발에 요구한 공공 기여와 관련한 사항은 추후 심의하기로 했다.
광주시와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은 공공 기여 등 관련 협의를 거쳐 새로운 협약을 체결하고, 도시계획위는 협약 내용을 심의하게 된다.
이날 회의에서 일부 위원들은 분양가의 기준이 되는 건설 원가 산정의 신뢰성 부족, 사업 지연에 따른 비용 상승, 공원 수준 저하 우려 등 을 제시하고, 대책 마련을 주문하기도 했다.
광주 시민단체협의회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시, 사업자, 전문가, 시의회,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 거버넌스를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오는 2027년 준공 목표인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 5027㎡ 부지 내에 공원시설과 비공원 시설을 건축하는 광주 최대 도심 공원 조성 프로젝트다. 뛰어난 풍경을 품고 있는 풍암호수를 중심으로 어울림 숲과 청년의 숲, 치유의 숲, 우듬지 숲, 예향의 숲, 가족의 숲, 활력의 숲, 기록의 숲 등 8개 테마별 도심 숲 공원을 조성한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 동 총 2772가구 규모의 명품 아파트 브랜드 ‘롯데캐슬 시그니처’ 가 들어선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