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광주·전남 ‘경선 후유증’
2024년 03월 18일(월) 19:26 가가
정책 경쟁 없이 후보 간 고발 난무
흑색 선전에 경선 후 잇단 재심
북갑 전략공천 검토 ‘시민 반발’
공천 심사 기준도 오락가락
후보 반발 속 탈당·무소속 출마도
흑색 선전에 경선 후 잇단 재심
북갑 전략공천 검토 ‘시민 반발’
공천 심사 기준도 오락가락
후보 반발 속 탈당·무소속 출마도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으로 분류되는 광주·전남지역 경선이 모두 마무리됐지만 정책도, 미래비전도 없이 예비후보 간 고소·고발 등 비방전만 난무한 경선으로 남았다는 평가다.
각종 잡음에 더해 경선 결과가 뒤집히는 일도 발생하는 등 ‘시스템 공천’의 취지에서 벗어나 공천 갈등에 따른 후유증이 본선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는 광주·전남에서 ‘민주당 공천은 곧 당선’이라는 공식 때문에 공천권만 따면 된다는 식의 경선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 경선 후보들 간 정책 경쟁이나 호남 정치에 대한 비전 제시는 온데간데없고, 오로지 ‘친명’(친이재명), ‘찐명’(진짜 이재명)만 내세워 공천만 받겠다는 경선이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18일 민주당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선거구 18곳에 대한 경선(17곳)·단수공천(1곳) 일정이 마무리됐다.
광주·전남에서는 그동안 각종 여론조사마다 상위권을 유지했던 후보들이 잇따라 컷오프(공천 배제)되면서 ‘비명’(비이재명)계 찍어내기 논란 등으로 잡음이 계속됐다.
후보들은 지역 발전과 호남정치 발전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대신 흑색선전만 벌이면서 ‘민주당 경선만 이기면 당선된다’는 인식이 있는 지역 민주당 후보들의 한계를 보여줬다는 부정적 평가도 나오고 있다. 뚜렷한 정책이나 공약을 내기보다는 ‘당에 줄서기’와 공천장 받기에만 몰두했다는 지적이다.
지역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해야 하는 국회의원 후보들이 경선 과정에서 파열음을 내면서 곳곳에서 고소·고발이 난무해 이번 총선이 끝나더라도 일부 후보들은 사법기관의 선거법 관련 수사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와 최고위원회 간 오락가락 행보도 경선 후유증으로 남았다.컷오프를 시켰다가도 이의 신청을 하면 받아들여지고, 받아들여졌다가도 최고위에서 번번이 기각되면서 심사 과정에서 ‘갈지(之)자 행보’를 보였다. 광주 8곳 중 7곳과 전남 10곳 중 7곳의 후보 인준이 마무리된 상태지만 ‘시스템 공천’에 대한 우려와 비판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북구갑에서는 정준호 변호사가 조오섭 의원을 이겼지만, 불법전화방 운영 의혹 등으로 경선 후 후보 인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정 변호사와 조 의원이 아닌 친명계 원외 인사 전략공천이 언급되고 있어 지역 민심 반발은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전남지역에서는 지난 16~17일 경선, 결선 결과를 발표한 나주·화순, 순천·광양·곡성·구례을, 영암·무안·신안 지역구 후보 인준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나주·화순 지역구의 경우 경선에서 패한 손금주 전 의원이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경선에서 승리한) 신정훈 예비후보가 이중 투표를 권유한 사실이 전국적으로 보도됐다”며 “해당 범법행위에 대해 민주당 중앙당 선관위와 사법당국은 즉각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또 각종 여론조사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던 후보들이 잇따라 컷오프되는 경우도 발생하면서 사천(私薦)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컷오프된 김성환 후보(광주 동남을),이윤석 후보(목포), 권오봉 후보(여수을), 신성식(순천·광양·곡성·구례갑), 이석형 후보(담양·함평·영광·장성), 백재욱 후보(영암·무안·신안)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등 공천 후유증은 본선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앞선 지방선거나 총선 때에도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등 특정 정치인 ‘이름 팔이’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번 민주당 경선에서는 유독 이재명 당 대표와의 인연을 강조하는 후보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면서 “호남 정치가 복원되고 발전하려면 후보들의 미래 비전과 지역발전을 위한 공약 등이 앞서야 하는데, 이번 경선에서는 ‘맹탕’이었다”고 지적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각종 잡음에 더해 경선 결과가 뒤집히는 일도 발생하는 등 ‘시스템 공천’의 취지에서 벗어나 공천 갈등에 따른 후유증이 본선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8일 민주당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선거구 18곳에 대한 경선(17곳)·단수공천(1곳) 일정이 마무리됐다.
후보들은 지역 발전과 호남정치 발전을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대신 흑색선전만 벌이면서 ‘민주당 경선만 이기면 당선된다’는 인식이 있는 지역 민주당 후보들의 한계를 보여줬다는 부정적 평가도 나오고 있다. 뚜렷한 정책이나 공약을 내기보다는 ‘당에 줄서기’와 공천장 받기에만 몰두했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와 최고위원회 간 오락가락 행보도 경선 후유증으로 남았다.컷오프를 시켰다가도 이의 신청을 하면 받아들여지고, 받아들여졌다가도 최고위에서 번번이 기각되면서 심사 과정에서 ‘갈지(之)자 행보’를 보였다. 광주 8곳 중 7곳과 전남 10곳 중 7곳의 후보 인준이 마무리된 상태지만 ‘시스템 공천’에 대한 우려와 비판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북구갑에서는 정준호 변호사가 조오섭 의원을 이겼지만, 불법전화방 운영 의혹 등으로 경선 후 후보 인준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정 변호사와 조 의원이 아닌 친명계 원외 인사 전략공천이 언급되고 있어 지역 민심 반발은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전남지역에서는 지난 16~17일 경선, 결선 결과를 발표한 나주·화순, 순천·광양·곡성·구례을, 영암·무안·신안 지역구 후보 인준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나주·화순 지역구의 경우 경선에서 패한 손금주 전 의원이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경선에서 승리한) 신정훈 예비후보가 이중 투표를 권유한 사실이 전국적으로 보도됐다”며 “해당 범법행위에 대해 민주당 중앙당 선관위와 사법당국은 즉각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또 각종 여론조사에서 상위권을 기록했던 후보들이 잇따라 컷오프되는 경우도 발생하면서 사천(私薦)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컷오프된 김성환 후보(광주 동남을),이윤석 후보(목포), 권오봉 후보(여수을), 신성식(순천·광양·곡성·구례갑), 이석형 후보(담양·함평·영광·장성), 백재욱 후보(영암·무안·신안)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등 공천 후유증은 본선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앞선 지방선거나 총선 때에도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등 특정 정치인 ‘이름 팔이’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번 민주당 경선에서는 유독 이재명 당 대표와의 인연을 강조하는 후보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었다”면서 “호남 정치가 복원되고 발전하려면 후보들의 미래 비전과 지역발전을 위한 공약 등이 앞서야 하는데, 이번 경선에서는 ‘맹탕’이었다”고 지적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