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의 응원 열기는 추위를 이긴다. 뜨거운 박수 소리와 함성이 가득한 전주월드컵경기장을 25일 방문했다.
전주월드컵경기장은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에 자리하고 있다. 전통과 한옥의 도시라는 이름에 걸맞게 기와 형태로 된 전주IC를 지나자 곧바로 경기장이 모습을 드러냈다.
  |
아래에서 본 전주월드컵경기장 지붕 모습. 지붕을 지지하고 있는 인장 케이블은 가야금의 12현을 표현했다. |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구장 전주월드컵경기장은 전주성이라고도 불린다. 4만 2256석의 관중석은 모두 녹색으로 칠해졌다. 고개를 들면 보이는 경기장 지붕은 전주의 특산품인 전통 부채 합죽선의 이미지를 형상화해 만들었다.
  |
전주월드컵경기장을 찾은 광주FC 팬들이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
경기장 건물은 지하1층, 지상6층으로 이뤄져있다. 선수 대기실을 비롯한 각종 사무시설이 마련되어있는 내부는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인테리어가 특징이다.
  |
전주월드컵경기장 내 매점 앞 이용객들이 줄을 서있다. |
이날 경기장에서는 K리그 1 37라운드 광주FC와 전북현대의 대결이 열렸다. 경기를 직관하러 온 1만1369명의 K리그 팬들이 관중석에 자리했다. 노란색 유니폼의 광주FC 팬들도 원정 응원석에 모였다. 응원가와 함께 울리는 북소리가 웅장했다. 나부끼는 깃발 아래 색연필로 직접 그린 응원판을 흔드는 유치원생 팬도 있었다.
  |
전주월드컵경기장 실내 모습. |
하프타임이 되자 사람들은 매점 앞으로 모였다. 경기장 서쪽에는 즉석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부스도 마련됐다. 초록색 줄무늬의 머플러를 목에 맨 전북팬들은 응원봉, 굿즈를 들고 사진을 찍으며 이날의 추억을 남기는 모습이었다.
  |
광주FC 허율이 팬의 유니폼에 싸인을 하고 있다. |
경기가 끝난 후 팬들은 저마다 응원하는 선수를 보기 위해 줄을 섰다. 이날 광주 선수들은 0-2패를 기록하면서 기대했던 ‘아시아무대’ 진출 확정을 미뤄야 했지만 아쉬운 패배에도 버스에 오르기 전 기념사진과 싸인 요청에 응하며 팬들의 사랑에 보답했다.
/전주 글·사진=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