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방사능 검사, 인력·장비 대폭 늘려야
2023년 08월 31일(목) 00:00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수산당국이 수산물 방사능 검사 횟수를 늘리는 등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수산물의 유통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국민 불안을 잠재우기 어렵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남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일부 시·군에서 시료를 채취해 비정기적으로 방사능 수치를 검사하던 방식을 오염수 방류 이후 매주 1회 검사하는 정기검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연간 90건이던 정기검사 횟수가 2배 늘어 270건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료 수거 역시 기존 월 1회 10건이었지만 대폭 확대돼 주 1회 6건(월 4회 24건)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처럼 횟수를 늘려도 검사 1건당 3시간이 걸리는 탓에 일주일에 한 차례 진행하는 검사로는 전남 2개 지자체에서 유통되는 6건의 수산물 밖에 검사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실제 이번 주 수산물 검사를 한 목포시, 여수시를 제외한 전남지역 나머지 20개 시·군은 10주를 기다려야 하는 셈이다. 검사 횟수를 늘린다지만 그만큼 시료 수거와 배달, 검사 등 절차가 복잡해 문제가 발견되더라도 해당 수산물은 이미 식탁에 오른 뒤여서 사후약방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검사 횟수와 품목이 늘어난 만큼 검사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장비와 인력 등 인프라 확대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유통기간이 짧은 수산물의 특성상 유통 속도에 맞게 신속한 검사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을 대폭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대로 된 검사 장비를 갖춘 기관이 한정된 상황에서 물적·인적 충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결국 수산당국이 마련한 대응책은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수산물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을 해소하려면 확실하고도 꼼꼼한 검사가 최선이다. 전남도 등 수산당국은 안전성 확보에 지역의 사활이 걸렸다는 마음으로 수산물 방사능 검사에 더욱 공을 들여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