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4급 감염병 전환…자율방역 집중해야
2023년 08월 25일(금) 00:00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이 오는 31일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은 ‘4급’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확진 검사와 입원 치료에 대한 비용 지원이 대폭 축소되고, 확진자에 대한 생활지원비도 없어지는 등 본격적인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시기로 들어선다.

정부는 엊그제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 4급 감염병 전환 및 2단계 조치 시행(안)’을 확정했다. 코로나19는 현재 결핵, 홍역, 콜레라, 장티푸스, A형 간염, 한센병 등과 함께 2급으로 분류됐지만 앞으로는 독감, 급성호흡기감염증, 수족구병 등과 같은 4급으로 낮아진다.

코로나19가 4급으로 낮아지고 2단계 조치가 시행되면 확진자 수 집계가 중단되고 독감처럼 양성자 중심의 표본감시로 바뀌게 된다. 또한 진단검사와 치료, 생활지원 등 지원책은 대폭 축소되거나 종료된다. 특히 일부 혹은 전액 지원했던 유전자증폭(PCR)검사와 신속항원검사(RAT)는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인 60세 이상 고령층이나 12세 이상 기저질환자, 고위험 입원환자, 응급실·중환자실 재원 환자를 제외하고는 전액을 피검사자가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코로나19가 4급으로 낮춰진다고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23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6일∼22일 광주 9370명, 전남 9852명이 확진되는 등 일 평균 확진자 수가 10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BA.2.86이라는 새로운 변이의 등장과 치료 부담으로 검사를 기피할 경우 언제든지 다시 유행할 가능성도 있다.

코로나 방역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줄어들면서 자율 방역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지난해 오미크론 유행 속 이뤄진 방역 완화 조치가 대규모 유행을 가져왔다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들은 상황에 따라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자율적인 방역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