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승인한 정부…수산업 살릴 대책도
2023년 08월 24일(목) 00:00
일본이 오늘부터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한다. 오염수 방류로 당장 어민들은 물론 유통 상인 등 수산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하게 됐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는 우리 정부의 사실상 승인으로 시기의 문제였지 언젠가는 닥칠 문제였다. 그런데도 수산업 생산 1위인 전남지역이 느끼는 충격파는 상상 이상이다. 전남은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3조 907억 원의 수산물을 생산했고 전복·생굴·젓새우 등 15개 품목은 전국 생산량의 93.8%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어가 수도 전국의 37%로 1위이고 어업 종사자 수도 전국에서 가장 많은 국내 최대 수산지이다. 그만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해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오염수 방류 전부터 수산물 소비가 급감했는데 방류가 시작되면 전남 어촌경제는 붕괴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전복의 경우 벌써 산지 가격이 절반 이상으로 떨어지면서 파산하는 어민들이 속출하고 있다. 어떤 어민은 양식장을 서둘러 팔고 어촌을 떠나기까지 했다.

수산물을 유통하는 상인들도 아우성이다. 광주 남광주시장 상인들은 그나마 뜸하던 손님들의 발길마저 끊겼는데 하소연 할 곳도 없다며 한숨짓고 있다. 문제는 오염수 방류가 향후 30년간 이어진다는데 있다. 오염수 방류가 일상이 된 상황에서 붕괴되는 수산업을 살리려면 정부가 나서야 한다. 정부가 방류를 용인한만큼 국민들이 입는 피해를 보상하는 것은 당연하다. 대외적으로는 일본 측 피해 배상 규모에 우리 측 보상 방안이 포함 될 수 있도록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 대내적으로는 정부 차원의 대책위원회를 설치해 특별법을 통해 수산업 직접 생산자는 물론 유통·가공·판매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보전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수산물 소비 위축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도 필요하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