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년 만의 ‘5·18 청문회’ 철저히 준비해야
2023년 08월 23일(수) 00:00
오는 10월께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5·18 청문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5·18민주화운동 진상조사위원회(이하 5·18조사위)는 2019년 12월 출범한 이후 5·18 진상규명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암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 발굴과 계엄군의 무고한 시민 학살 및 비공식 지휘라인 확인, 허위로 드러난 북한군 개입설 등 조사 성과를 거뒀다. 이를 통해 사격 발포 명령자 규명과 행방불명자 암매장지 찾기 등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거나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일정 부분 밝혀낼 수 있었다.

하지만 5·18조사위는 4년여 동안 5·18민주화운동 진상조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청문회를 계획대로 열지 못했다. 이번 청문회는 1988~1989년 5공화국·광주청문회 이후 34년 만에 열리는 것이다.

5·18조사위는 활동 마지막 연차인 올해 1월 청문회 준비소위를 발족했으나 현재까지 아무런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청문회 주제를 확정하지 못한데다 관련 증인과 참고인 접촉, 참여 여부 교섭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10월로 잡힌 5·18 청문회는 반드시 개최돼야 한다. 5·18조사위는 그동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청문회를 열어 43년 전 5·18민주화운동의 최종 진실을 반드시 규명해야 할 것이다. 1980년 5월 전두환 등 신군부가 광주에서 자행한 만행에 대해 철저하게 밝혀야 한다. 34년 만에 어렵게 마련되는 막중한 5·18 청문회가 ‘맹탕 청문회’가 되거나 무산돼서는 결코 안 될 것이다.

광주 시민은 물론 전 국민이 주시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5·18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12월 26일 활동을 종료하는 5·18조사위 2기 활동이 필요하다. 정부차원의 5·18 진상규명 활동이 한시적으로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