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감 동창 채용 위해 점수 조작했다니
2023년 08월 11일(금) 00:00 가가
광주시교육청이 지난해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의 고교 동창인 유 모 전 감사관을 채용하기 위해 점수를 조작한 사실이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다.
감사원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 인사 담당자 A 씨는 작년 개방형 직위인 감사관 채용 과정에서 면접시험 순위를 바꾸기 위해 평가 위원에게 직접적으로 점수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광주시교육청 감사관 채용은 대학 교수 등 다섯 명의 평가 위원이 1차 서류 전형, 2차 면접시험을 실시해 상위 두 명을 인사위원회에 통보하고, 인사위원회가 최종 한 명을 교육감에게 추천하는 방식이었다.
한데 A 씨는 지난해 8월 다섯 명이 응시해 진행된 면접 점수에서 유 전 감사관이 221.5점, 3위로 나타나자 평가 위원들에게 수정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A 씨는 위원들에게 “1위는 1962년생, 2위는 1971년생 후보로 나왔는데 (…) 감사관은 너무 젊은 분이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유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평가 위원 두 명이 유 전 감사관의 점수를 높게 수정해 2위로 올라섰다. 그 결과 정식 채용된 유 전 감사관은 교육단체와 노조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다가 올 4월 건강상의 이유로 사퇴했다.
이 같은 감사 결과에 대해 광주시교육청은 “인사 담당자가 평가 위원들에게 점수를 조정하도록 요구하거나 조작에 개입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시민·교사 단체들은 꼬리 자르기가 아닌 정확한 책임 규명과 불공정 채용 근절을 촉구하고 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 모임’은 어제 성명에서 “책임자를 찾아 엄벌하고, 더 이상 부적절한 인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2012년에도 인사 담당자가 사립학교 교사를 공립교사로 특별 채용하는 과정에서 점수를 조작한 사실이 교육부 감사에서 적발되기도 했다. 불공정 채용은 교육 기관의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다. 더욱이 감사관은 누구보다도 청렴·공정해야 할 자리가 아닌가. 광주시교육청은 인사 비리가 더 이상 되풀이되지 않도록 재발 방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감사원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 인사 담당자 A 씨는 작년 개방형 직위인 감사관 채용 과정에서 면접시험 순위를 바꾸기 위해 평가 위원에게 직접적으로 점수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광주시교육청 감사관 채용은 대학 교수 등 다섯 명의 평가 위원이 1차 서류 전형, 2차 면접시험을 실시해 상위 두 명을 인사위원회에 통보하고, 인사위원회가 최종 한 명을 교육감에게 추천하는 방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