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특화 단지’ 광주·전남을 새 거점으로
2023년 07월 18일(화) 00:00
광주·전남이 유치전에 나선 정부의 ‘반도체 특화 단지’ 지정 발표가 임박하면서 결과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는 최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진복 정무수석을 만나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당위성 등을 적극 피력하는 등 반도체 특화 단지 막바지 유치전에 총력을 쏟고 있다. 국가첨단전략 산업위원회가 이번 주 전국 15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국가첨단전략 산업 반도체 특화단지’ 공모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접경지인 광주 첨단 1·3지구에 시스템 반도체용 차세대 후공정(패키징) 특화 단지를 조성해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며 특화 단지 유치를 신청한 상태다. 양 시도는 타 지자체와 비교해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을 갖췄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풍부한 재생 에너지와 한빛원전 전력 등을 통한 에너지 융합(Energy Mix) 실현이 가능하고 부지·용수·전력 등 기반 시설이 탄탄하다는 게 골자다.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 육성과 인재 양성 등 생태계 구축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최근 교육부의 ‘반도체 특성화 대학 공모 사업’에서 전남대·전북대 연합 대학이 최종 선정돼 340억 원의 국가 예산을 확보했다. 이 사업은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시설 구축과 기업 협업 등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정부는 지역 균형 발전과 산업 경쟁력 차원에서 광주·전남을 배려해야 한다. 첨단 반도체 산업은 대부분 수도권에 밀집돼 산업화에 이어 첨단산업 시대에도 광주·전남은 소외와 침체를 겪고 있다. 산업의 수도권 편중은 광주·전남을 인구 감소에 따른 소멸 지역으로 전락시키는 등 악순환을 낳고 있다. 정부는 광주·전남 지역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전기를 마련하도록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에서 국가 균형 발전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