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동원 피해자를 응원하는 국민 기부 행렬
2023년 07월 10일(월) 00:00 가가
일본에 강제 동원된 피해자들 중 정부가 제안한 ‘제3자 대위 변제안’ 배상금 수령을 거부하고 일본의 사과와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원고 네 명을 응원하는 모금 운동에 국민들의 성원이 답지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가 이들에게 지급하려던 소위 ‘판결금’을 법원에 공탁하는 절차를 개시한 것과 맞물려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응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광주의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등 전국 600여 개 단체로 구성된 ‘한일 역사정의 평화행동’은 최근 정부의 제3자 변제안을 거부하고 있는 양금덕 할머니, 이춘식 할아버지 등 생존 피해자 두 명과 사망 피해자 유족 두 명 등 네 명의 투쟁을 응원하기 위해 ‘역사 정의를 위한 시민 모금’ 운동을 시작했다. 10억 원을 목표로 시작된 시민 모금은 목표 금액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모금이 중단되며 모금액은 강제동원 피해자 및 유족에게 균등하게 분배될 예정이다.
지난달 29일 시작된 국민 모금액은 8일 오후 7시 현재 3265건, 2억 4500만 원에 달한다. 후원에는 각계각층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는 성금을 보낸 이들의 사연이 올라와 있다. 결혼식을 앞두고 미리 받은 축의금을 흔쾌히 내놓은 예비 부부,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유족이자 5·18민주화운동 당사자, 자신에게 의미 있는 숫자만큼 기부한 시민 등 다채롭다. 초·중·고교생 세 명의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아이들에게 시민 모금의 의미를 설명해 주고 기부 의사를 물었더니 세 자녀가 모두 용돈을 선뜻 기부했다며 홈페이지에 글을 남기기도 했다.
자발적인 성금이 답지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제3자 대위 변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국민들의 의지를 보여 준다. 정부는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국민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전환된 해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