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수호신 ‘산군이’ 미래에는 어떤 모습일까?
2023년 07월 04일(화) 20:40 가가
광주시립창극단 ‘무등산 산군이’
15~16일 광주예술의 전당
15~16일 광주예술의 전당
![]() ![]() |
“별과 바람의 이야기, 무등산의 이야기, 우리의 이야기…”
파란 도깨비 같기도 하고 호랑이도 닮았다. 해태나 용과 흡사한 ‘산군이’는 낯설지만 아이들에게는 신기할 것 같다.
산군이의 정체는 다름 아닌 서기 2122년에 해태로 다시 태어난 ‘무등산 호랑이’. 익히 알려진 호랑이 외형은 분명 아니다.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네 발로 무등산을 지키던 호랑이 ‘산군이’가 2122년경에는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까.
작품은 무분별한 환경파괴로 무등산 호랑이 산군이가 특유의 용맹함과 정기를 잃어버린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원래는 네 다리였지만 환경오염으로 다리 하나를 잃어버린 산군이는 세 다리를 질질 끌고 숲속을 어슬렁거린다. 어느 날, 흰 수염을 기른 노인(박무성)이 산군이에게 나타난다. 노인은 무등산에 웅크리고 있던 다섯 정령을 깨워 춤과 노래로 풀이 죽어있던 산군이를 위로한다.
아울러 극단의 라인업도 기대를 모은다. 다섯 정령 역에 이미소(해신), 고혜수(화신), 정승기(수신), 이은비(풍신), 정동렬(지신)이 역동적인 무대를 꾸린다. 이들은 수염과 지팡이, 남루한 분장까지 착용해 보는 재미를 선사한다. 소품으로 준비한 파란 산군이 인형은 아이들에게 동심을 심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가야금에는 정해성, 타악에는 도경한이 우리 옛 소리를 더할 예정이며 무용은 정숙희, 나윤정, 배정화 등이 펼친다.
김규형 예술감독은 “이번 작품은 ‘창극’을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창작한 작품”이라며 “아이들에게 무등산에 얽힌 전설 뿐 아니라 환경보호를 주제로 한 메시지도 잘 전달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전석 1만 원에 티켓링크와 전당 홈페이지를 통해 예매 가능. 4세 이상 관람가.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