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뭉치 한빛원전 수명 연장 무리수 아닌가
2023년 07월 03일(월) 00:00 가가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영광 한빛 원자력발전소에서 또다시 냉각수 누수가 발견됐다. 한데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 절차를 공식화하고 나서 지역 사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28일 계획 예방 정비 중인 한빛 5호기의 원자로 격납 건물 내 안전 주입 계통에서 소량의 냉각수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냉각수는 원자로의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하는데, 정상 가동 중 누출될 경우 원자로 내 핵연료가 녹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다행히 정비 중에 발견돼 피해는 없었지만, 2020년에도 같은 사고가 있었다는 점에서 한빛원전의 안전성 문제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와중에 오는 2025년 12월과 2026년 9월 각각 40년 수명 만료를 앞둔 한빛1·2호기의 연장 운행을 위해 한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계속 운전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제출했다는 점이다. 원안위는 원전 사업자가 최신 기술 기준을 적용해 안전성 평가를 했는지 심사하고, 현장 점검 등을 통해 계속 운전 기간의 원전 안전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이 전해지자 지역민과 환경단체는 “한빛 1·2호기 수명 연장 시도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두 원전은 그동안 격납건물 내 수십 개의 공극과 철판 부식이 발견되는 등 100건 가까운 사건·사고가 잇따라 주민들이 극도로 불안해 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안위의 주민 설명회·동의 과정에서 주민 반발이 커지고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설비 개선 시간 등을 고려하면 수명 만료 전 연장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더욱이 정부는 원전 가동으로 발생하는 사용 후 핵연료 저장 시설조차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한수원은 원전 가동 연장을 추진하기에 앞서 정밀 진단을 통해 안전성을 제대로 확보하고 있는지부터 따져 봐야 할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와중에 오는 2025년 12월과 2026년 9월 각각 40년 수명 만료를 앞둔 한빛1·2호기의 연장 운행을 위해 한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계속 운전 안전성 평가 보고서’를 제출했다는 점이다. 원안위는 원전 사업자가 최신 기술 기준을 적용해 안전성 평가를 했는지 심사하고, 현장 점검 등을 통해 계속 운전 기간의 원전 안전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