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복원 5·18정신 올곧이 살려야
2023년 06월 22일(목) 00:00 가가
1980년 5·18 당시 시민군의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을 복원하는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옛 전남도청 별관에 있던 복원사업추진단이 인근 전일빌딩245 건물로 이전을 결정하고 8월부터 공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은 505억 원을 들여 2025년까지 도청 본관과 별관, 경찰국 본관 및 민원실, 상무관 등 5·18 사적지 여섯 개 동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옛 전남도청은 2015년 개관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이 전남도청과 연계해 건립되면서 원형 일부가 훼손됐다. 문화전당 출입로를 만들면서 도청 건물이 두 동강 났고 계엄군의 진압을 알렸던 방송실 자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됐다.
이명박·박근혜 보수정권 시절, 5·18 역사 지우기 논란 속에 오월어머니회 등 지역 사회가 도청 원형 복원을 요구하며 장기간 점거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2019년 문재인 정부가 원형 복원을 결정하면서 논란을 잠재웠는데 그로부터 4년 만에 착공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복원사업추진단은 논란이 일었던 미디어월은 철거 후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우여곡절 끝에 착공에 들어가는 만큼 이제부터는 복원 과정에 5·18 정신을 올곧이 담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얼마 전 지역사회 전문가들은 복원 모델 도출을 위한 세미나를 갖고 ‘민간 주도’와 ‘정신 계승’ 등 5대 원칙을 제시하기도 했다. 폭력의 당사자인 국가가 아닌 민간이 주도해 세계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의견 수렴 조사 결과를 보면 복원의 최우선 목표로 일반 국민들은 5·18 정신과 가치를 추모하는 공간으로 조성할 것을 꼽은 데 반해 5월 관계자들은 문화 유산으로서 원형 보존에 방점을 뒀다. 110억 원에 달하는 전시 콘텐츠 예산을 적극 활용해 국민과 5월 관계자의 시각차를 좁히고 민주화의 성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옛 전남도청 복원 사업은 505억 원을 들여 2025년까지 도청 본관과 별관, 경찰국 본관 및 민원실, 상무관 등 5·18 사적지 여섯 개 동을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옛 전남도청은 2015년 개관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이 전남도청과 연계해 건립되면서 원형 일부가 훼손됐다. 문화전당 출입로를 만들면서 도청 건물이 두 동강 났고 계엄군의 진압을 알렸던 방송실 자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