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쉬운 수능’ 기조…수험생 혼란 최소화해야
2023년 06월 20일(화) 00:00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대학 수학 능력 시험) 관련 발언으로 수험생과 학부모, 교육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

윤 대통령은 엊그제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의 문제는 수능 출제에서 배제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에게 교육 개혁 추진 상황을 보고받는 자리에서 “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아예 다루지 않은 비문학 국어 문제라든지 학교에서 도저히 가르칠 수 없는 과목 융합형 문제 출제는 처음부터 교육 당국이 사교육으로 내모는 것으로 아주 불공정하고 부당하다”면서 “국민들은 이런 실태를 보면 교육 당국과 사교육 산업이 한통속이라고 생각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의 지시가 ‘쉬운 수능’으로 와전돼 혼란을 야기하자 당정은 어제 국회에서 ‘학교 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 협의회’를 열어 수능에서 이른바 ‘킬러 문항’(초고난도 문항) 출제를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 확보를 위해 출제 기법 등 시스템을 점검하기로 했다. 당정은 ‘킬러 문항’이 학생을 사교육으로 내모는 근본 원인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공정 수능’을 위해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은 출제를 배제하기로 했다.

문제는 대통령의 언급이 5개월도 남지 않은 올해 수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선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당장 수험생들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이 주관하는 모의고사(9월 6일) 한 차례만 보고 바뀐 수능 경향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교육계에서는 이런 변화가 수험생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변화되는 수능 출제 경향에 대한 명쾌한 기준과 방향을 서둘러 제시해 교육 현장의 혼란을 조기에 수습해야 한다. 수험생들이 더 이상 혼란스럽지 않도록 문제를 빨리 매듭지어야 한다. 장기적으로 공교육 경쟁력을 강화하는 근본적인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