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정원 확대” 전남 지역 의대 신설로 이어져야
2023년 06월 12일(월) 00:00
정부와 대한의사협회가 진통 끝에 의사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전국 최악의 의료 취약지인 전남 지역 의대 설립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는 엊그제 의료현안협의체를 열고 “필수 의료 및 지역 의료 강화를 위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적정한 의사 인력 확충 방안을 논의한다”는 데 합의했다. ‘의대 정원 증원’이라는 구체적인 문구가 담기진 않았지만 큰 틀에서 의료 체계 붕괴를 막기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다.

의대 입학 정원은 2006년부터 18년째 3058명으로 동결돼 있다. 고령 인구와 각종 질환 발생이 늘면서 의료 수요는 급증하는데 의사 공급은 그대로이다 보니 의료 공백이 커지고 있다. 응급 의료진을 찾아 해매다 길 위에서 숨지는 ‘응급실 뺑뺑이’나 새벽부터 진료를 위해 대기하는 ‘소아과 오픈런’ 등 필수 의료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임상 의사 수는 인구 1000명당 2.5명으로, 멕시코(2.4명) 다음으로 적고, OECD 평균(3.7명)에 한참 못 미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의사 공급이 현재 수준으로 유지될 경우 2035년엔 2만 7232명의 의사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정부와 의사협회의 수급 추계가 상당한 간극을 보여 논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어디서, 얼마나 늘릴지도 관건이다. 모든 의대 정원을 한꺼번에 늘리는 것보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의대 혹은 국공립대 위주로 증원하는 안도 거론된다.

전남 지역은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 등 필수 과목 전문의가 부족해 전국에서 의료 공백이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꼽힌다. 그런데도 유일하게 의과대학과 상급 종합 병원이 없어 지역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 아니다. 열악한 현실을 타개할 해법은 국립 의대 신설과 지역 의사제 도입이다. 정부와 의사협회는 이번에는 꼭 전남도민의 숙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뜻을 한데 모아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