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찬양 흔적들 지워 ‘오월’ 바로 세워야
2022년 05월 12일(목) 00:05
전두환은 5·18 민주화운동을 유혈 진압한 데 대해 끝내 사과하지 않은 채 지난해 11월 세상을 떠났다. 타계하기 4년 전 펴낸 회고록에서도 5·18 학살의 진상을 밝히지 않고 자신의 공적만을 미화했다.

그런데도 전국 곳곳에는 전두환을 찬양하거나 미화한 시설물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5·18민중항쟁 기념 대전행사위원회는 그제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충남기계공고 내에 세워진 ‘전두환 방문 기념비’를 철거할 것을 촉구했다. 경남 합천군 시민단체인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는 오는 18일 합천읍 일해공원 앞에서 5·18 기념식을 열고 전두환의 별호를 딴 ‘일해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군민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5·18 42주년을 맞아 ‘전두환 흔적 지우기’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충북교육청은 2020년 일곱 개 공립학교에 있던 전두환 하사금 건립 표지판을 모두 철거한 바 있다. 국가보훈처도 2년 전 전두환의 글씨를 받아 만든 대전 현충원 현충문 현판을 ‘안중근체’로 교체했다. 전두환 부부가 1988~1990년 머물렀던 강원도 인제 백담사도 2019년 전두환의 흔적을 모두 없앴다.

광주시 북구 망월동 민족민주열사 묘역을 찾은 참배객들은 입구 바닥에 파묻힌 전두환 비석을 밟고 지나간다. 광주시 서구 5·18자유공원 입구에도 ‘선진 조국의 선봉’이라 쓰인 전두환 비석이 거꾸로 땅에 묻혀 있다. 이 모두 살아생전 사과는커녕 반성조차 없었던 전 씨에 대한 준엄한 질타이다.

5·18 학살의 최고 책임자인 전두환을 미화한 기념물이나 흔적들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5월 영령들의 참뜻을 기리고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