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방패’ 실외 마스크 해제 신중해야
2022년 04월 27일(수) 00:05 가가
방역 당국이 지난주 ‘사회적 거리 두기’를 전면 해제한 데 이어 그제는 코로나19의 법정 감염병 등급을 1급에서 2급으로 하향 조정했다. 영화관과 실내 공연장 등 실내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취식도 허용했다. 다음달 말부터는 확진자에 부여되는 7일간의 격리 의무가 폐지되며, 진단·검사·치료 등 모든 의료체계가 일반 의료 체계로 전환된다.
한데 방역당국은 실내 취식을 허용하면서도 실외 마스크 착용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감염 전파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건물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벗고 음식을 먹다가, 통풍이 되는 야외에 나갈 때 다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건 일관되지 못한 방역 지침”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현 정부와 새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실외 마스크와 확진자 격리 해제 등에서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방역 당국은 과학적 측면만 보면 실내와 비교해 실외에서는 전파 가능성이 떨어져 마스크 착용 의무를 유지할 필요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반면 인수위는 ‘실외 마스크 해제’에 부정적 입장을 보인 바 있다. 따라서 오늘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발표할 ‘코로나 비상 대응 100일 로드맵’에 어떠한 방안이 담길지 주목되고 있다.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에 대해 전문가들과 시민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대한의사협회는 어제 대국민 권고문을 통해 “정부가 밝힌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는 현재의 국내 코로나19 감염상황에서 시기상조”라며 “가장 기본적인 개인 보호구인 만큼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될 경우 가장 우려스러운 것은 여전히 하루 수만 명씩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고령층 등 고위험군의 감염 우려다. 마스크 착용 여부는 정치적 잣대가 아닌 과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종합적이고 신중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다.
현 정부와 새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실외 마스크와 확진자 격리 해제 등에서 견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방역 당국은 과학적 측면만 보면 실내와 비교해 실외에서는 전파 가능성이 떨어져 마스크 착용 의무를 유지할 필요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반면 인수위는 ‘실외 마스크 해제’에 부정적 입장을 보인 바 있다. 따라서 오늘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발표할 ‘코로나 비상 대응 100일 로드맵’에 어떠한 방안이 담길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