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보존·개발 정치 쟁점화 우려된다
2022년 04월 26일(화) 00:05 가가
‘무등산 보호’의 대명사인 (사)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이하 무보협)가 무등산 개발 문제를 둘러싸고 분열로 치닫고 있다. 최근 무보협 소속 70여 개 환경·시민 단체 가운데 50여 곳이 무보협을 탈퇴해 ‘국립공원 무등산 지키기 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를 발족한 것이다. 1987년 5월 출범한 무보협에서 30여 년 동안 한목소리를 내온 단체들이 대거 이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광주환경운동연합·광주전남녹색연합 등 핵심 환경단체의 이탈로 무보협은 사실상 이름만 남게 됐다.
무보협의 분열에는 무등산 난개발과 정치적 편향 논란이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1월 무보협이 무등산 정상부 개발 논의와 관련해 특정 후보 정책 지지를 담은 성명을 내자 갈등이 증폭돼 소속 단체들의 탈퇴 사태를 불러 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무보협이 그동안 제기된 무등산 난개발 우려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무보협에서 탈퇴한 단체들이 꾸린 시민연대는 발족식에서 “(산악열차·케이블카 개설 등) 무등산 접근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논의보다, 방송통신 탑 이전 등 정상 복원이 우선돼야 한다”며 이를 우회적으로 꼬집기도 했다.
무등산이 지금까지 잘 보존될 수 있었던 데는 무보협의 역할이 컸음을 부인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난개발을 막기 위해 부지를 사들여 보존하는 ‘무등산 공유화운동’은 국내 환경 보호 운동의 선구적 사례로 꼽힌다.
무보협이 파열음을 내고 있지만 무등산 보호의 가치와 정신은 계승되고 실천돼야 한다. 무등산은 정치의 대상이 아니라 자연 보존이라는 목적 자체로 대해야 할 광주의 자산이기 때문이다. 무등산은 현재 정상 군부대 주둔과 방송통신 탑 등으로 인해 환경이 심각하게 훼손돼 있다. 보존과 개발을 놓고 다양한 의견을 제기할 수는 있겠지만 그 과정에서 무등산 정상 복원을 염원하는 시민들의 열망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