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폭증 속 방역 완화 의료체계 괜찮을까
2022년 02월 21일(월) 00:05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의 폭발적 확산세 속에서 정부가 방역 조치를 일부 완화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영업 손실 등 경제적 피해가 가중되는 상황을 고려한 조치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방역망과 의료 체계는 더 큰 부담을 안게 됐다.

정부는 그제부터 식당·카페 등의 영업시간 제한을 밤 9시에서 밤 10시로 한 시간 연장했다. 대신 사적 모임 인원은 ‘최대 6인’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하지만 확진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나온 이러한 조치가 확산세를 더욱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동안 확진자 억제를 위해서는 사적 모임 제한보다 영업시간 제한이 더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겨져 왔기 때문이다.

실제 광주·전남의 신규 확진자는 그제 4725명에 달하는 등 연일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이달 말께는 하루 1만 명대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나마 코로나 치료 병상 가동률은 31.4%로 안정적이지만 위중증 환자가 갈수록 증가하면서 조만간 의료 체계가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 여기에 최근 병원은 물론 관공서발 집단 감염이 속출해 공공서비스 등 사회 필수 기능 마비까지 걱정되는 상황이다.

특히 일부에서는 조직이나 직장 내 ‘첫 감염자 낙인’을 우려해 자가 검사를 꺼리는 등 방역 수칙을 무시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 때문에 ‘숨은 감염자’들이 곳곳에서 일상생활을 하면서 감염 경로조차 알 수 없는 확진자들이 쏟아지고 있다.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창궐로 이제는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코로나에 감염될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이상이 느껴지면 시민 스스로 자가 검사를 실시하는 등 셀프 방역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는 오미크론 유행의 정점에 대비해 의료 대응 체계를 세심히 보완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