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후보 단일화’ 대선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2022년 02월 14일(월) 00:05 가가
대선 판세가 안갯속인 가운데 야권 후보 단일화가 주요 변수로 급부상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어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게 여론조사 방식의 야권 단일화를 전격 제안했기 때문이다. 안 후보의 야권 단일화 제안은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가 엎치락뒤치락 숨 가쁜 접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대선 판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주목된다.
안 후보는 단일화 방식으로 당원 투표를 포함하지 않은 100% 국민 여론조사를 들고 나왔다. “여론조사 국민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를 정하고 누가 후보가 되든 서로 러닝메이트가 되면 압도적 승리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 안 후보는 “누가 더 미래를 이끌 적임자인지는 오롯이 국민 판단에 맡기면 경선은 복잡할 일도 시간 끌 일도 없다”며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합의한 방식에 따르자”고 제안했다.
그간 ‘단일화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던 안 후보는 왜 갑자기 먼저 단일화를 제안했을까. 이에 대해 안 후보는 (사람들이) “집요하게 ‘단일화 꼬리’만 붙이려고 하니 그렇다면 차라리 선제적 제안을 해서 안철수의 이름으로 정권교체 하는 거라 판단했다”고 말했다. 더 좋은 정권교체를 명분으로 내세운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안 후보가 제안한 국민 경선 여론조사 방식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 ‘고민해 보겠다’면서도 ‘아쉬운 점도 있다’고 털어놨다. 정권교체를 목표로 한 안 후보의 제안에 원칙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을 밝힘으로써 연대 가능성을 열어 두는 한편 국민 여론조사 방식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만약 야권 후보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대선판은 크게 요동칠 수 있다. 특히 정권 재창출은 물거품이 되고 단숨에 정권교체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만 단일화 성사의 관건은 안 후보 지지율이 앞으로 15% 이상 치솟을 수 있느냐의 여부일 것이다.
만약 야권 후보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대선판은 크게 요동칠 수 있다. 특히 정권 재창출은 물거품이 되고 단숨에 정권교체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다만 단일화 성사의 관건은 안 후보 지지율이 앞으로 15% 이상 치솟을 수 있느냐의 여부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