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믿을 수 있는 정책부터 내놓아야
2021년 12월 24일(금) 00:00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도 시행 과정에서 부득이 백신을 접종하지 못한 일부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기저 질환 등 다양한 사유로 접종이 어려운 사람들이 차별과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18일부터 식당·카페 등 다중 출입 장소 등을 대상으로 방역패스를 시행하고 있다. 백신 접종자는 시설 이용이 자유로운 반면, 미접종자는 제약을 받는 방식이다. 광주일보가 만난 직장인 A(31)씨는 회사 구내식당에서 김밥으로 점심을 때운다고 했다. 그는 알레르기성 피부병을 앓고 있는 데다 아버지가 백신 1차 접종 후 고열 증세와 두드러기 증상을 보이는 등 힘겨워 하는 모습을 보면서 접종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는 “방역패스가 강화된 뒤에는 회사에서 외톨이가 된 듯하다”고 토로했다.

임신부 B씨도 “인터넷을 보니 미접종자는 무조건 출입을 금하는 식당들도 많은 데다 식당 입구에 ‘백신 미접종자 출입 금지’라는 안내문을 붙여 놓은 곳을 보면 들어갈 엄두가 안 난다”고 말했다. 백신 미접종자들은 임신부와 기저질환자 등 불가피하게 백신을 맞지 않았거나 1차 백신 접종 이후 몸에 이상반응이 생긴 이들처럼 그 이유도 다양한데, 정부가 기계적으로 방역패스를 적용하고 있다고 하소연한다.

최근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오미크론 바이러스 확진자가 잇달아 나오고 있는 데다 사망자나 위중증 환자도 크게 늘고 있다. 가족과 공동체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백신 접종은 너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기저 질환 등 다양한 사유로 접종이 어려운 사람들이 차별과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된다. 정부는 무조건 접종을 강요할 게 아니라 백신 기피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등 백신 접종의 신뢰부터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