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작업허가서 허위 작성 여부 밝혀야
2021년 12월 20일(월) 00:00 가가
하청업체 일용직 노동자 세 명의 목숨을 앗아 간 여수산단 폭발 사고와 관련 작업 허가서가 허위로 작성됐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광주일보가 강은미 정의당 국회의원을 통해 입수한 이일산업의 사고 당일 ‘안전 작업 허가서’에는 작업장 주위 20m 이내 가연성 및 인화성 물질들의 제거 작업이 완료된 것으로 기록돼 있었다.
하지만 경찰 등의 현장조사 결과 폭발 사고가 난 저장 탱크에는 화학물질이 30% 가량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작업 허가서를 허위 또는 형식적으로 작성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탱크 내에 화학물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산소 농도 측정이 불가능한데도 작업 허가서에는 무려 세 곳에 ‘산소 농도 20.9%’라고 기록돼 있다. 노동계는 산소 농도 측정은 원칙적으로 탱크를 비우고 하단부의 맨홀을 통해 측정해야 하는데 탱크에 연료가 남아 있었다면 측정 자체가 허위이거나 탱크 상부에서 측정했을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안전 작업 허가서는 원청업체의 안전 감독관이 현장의 안전 상태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작업을 허가하는 문서다. 작업시간·내용·조건·요구사항 등을 표시해 작업을 시작하기 전 하청업체에 전달하며 현장에 반드시 게시해야 한다. 이처럼 안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작업 허가서를 형식적 또는 허위로 작성했다면 안전 불감증은 물론 사고를 방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여수산단에서는 지난 2013년에도 한 공장에서 에틸렌 분말을 빼내는 작업을 소홀히 함으로써 폭발 사고가 발생했는데, 사고 직후 작업 허가서를 급조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경찰과 노동청은 다시는 이러한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 작업 허가서의 진위를 신속히 규명해 엄한 책임을 묻고 개선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특히 탱크 내에 화학물질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산소 농도 측정이 불가능한데도 작업 허가서에는 무려 세 곳에 ‘산소 농도 20.9%’라고 기록돼 있다. 노동계는 산소 농도 측정은 원칙적으로 탱크를 비우고 하단부의 맨홀을 통해 측정해야 하는데 탱크에 연료가 남아 있었다면 측정 자체가 허위이거나 탱크 상부에서 측정했을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